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전국 20~40대 2천명을 대상으로 '혼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6개월 내 혼술을 경험했다는 응답이 66.1%에 달했고, 6개월 전에 비해 혼술이 늘었다는 응답 또한 25.5%를 차지했다.

[중부매일 김미정 기자] 1인 가구가 늘면서 혼자 술을 마시는 '혼술족'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술 마실 때에는 여럿이 마실 때보다 음주량은 적었지만, 혼술 시에도 37.9%가 WHO가 제시한 고위험음주량 이상을 마신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전국 20~40대 2천명을 대상으로 '혼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6개월 내 혼술을 경험했다는 응답이 66.1%에 달했고, 6개월 전에 비해 혼술이 늘었다는 응답 또한 25.5%를 차지했다.

이는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의·식·주를 모두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생활상이 음주문화에도 반영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는 1990년 9.0%인 102만명에서 2000년 23.9%인 414만명, 2015년 27.2%인 520만명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혼술 시에는 도수가 낮은 맥주를 주로 마셨고, 소주, 과실주, 탁주, 위스키 순으로 소비량이 많았다.

한번에 마시는 혼술 음주량은 맥주(200ml) 4잔, 소주(50ml) 5.7잔, 과실주(100ml) 2.6잔, 탁주(200ml) 2.7잔, 위스키(30ml) 3.1잔으로 조사됐다.

혼술 이유로는는 '편하게 마실 수 있어서'가 62.6%로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서' 17.6%, '함께 마실 사람이 없어서' 7.7%, '비용 절감을 위해서' 5.2% 순을 보였다.

혼술 장소로는 집(85.2%)이 압도적이었고, 주점·호프집(7.2%), 식당·카페(5.2%)도 꼽혔다.

혼자서 술을 마시는 요일은 '상관없다'가 42.4%를 차지했고, 주로 먹는 안주로는 과자류(40.9%), 육류인 고기, 소시지 등(33.0%), 건포·견과류(26.7%) 순이었다. 안주를 먹지 않는다는 응답도 8%에 달했다.

혼자 술 마실 때는 여럿이 마실 때보다 음주량은 적었지만, 혼술 시에도 37.9%가 WHO가 제시한 고위험음주량 이상을 마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40.1%)이 남성(36.1%)보다 고위험음주량 비율이 높았다. WHO가 제시한 고위험음주량은 맥주(200ml) 기준 남자 8.3잔, 여자 5.6잔, 소주(50ml) 기준 남자 8.8잔, 여자 5.9잔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