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충원교 공사 지연으로 상권 침체" 상인들 피해 호소
수해로 가도·가교 일부 유실·복구 수공, 개통 지연… 3년째 통행 금지 인근 상가 "생계 위협" 대책 촉구
[중부매일 정구철 기자]한국수자원공사가 발주해 충주댐 하부에 추진 중인 충원교 재가설 공사가 지연되면서 인근 상인들이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7일 수자원공사 충주댐지사에 따르면 지난 1979년에 가설돼 낡은 충원교를 철거하고 가칭 신충원교를 건설하기 위해 지난 2021년 12월부터 교량에 대한 통행을 전면 금지시켰다.
수공 측은 당초 2023년 말까지 신충원교를 개통한다는 계획이었으나 계속 공사가 늦어져 현재까지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수공 관계자는 공사 지연 이유에 대해 "2023년 수해 발생으로 가도와 가교가 일부 유실돼 이를 복구하느라 공기가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주민 박모(62) 씨는 "가도와 가교 일부를 복구하느라 공사가 2년씩이나 지연됐다는 것은 핑계가 되지 않는다"며 "수공 측이 공사가 지연되는데 대한 명확한 설명조차 하지 않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신충원교는 현재 교각이나 슬래브 시공까지 구조공사는 모두 마무리된 상태로 마지막 단계인 포장공사와 부대공정만 남겨놓고 있다.
수공 측은 올해 안에 공사를 마무리짓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최근 교량의 유지관리를 충주시로 이관하는 문제를 놓고 양측이 일부 이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공 관계자는 "포장 방법이나 각종 부대시설 등 구체적인 문제를 놓고 시와 협의 중이다 보니 개통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수공 측이 신충원교를 임시개통하는 방안을 시에 제시했지만 이 경우, 사고나 하자 발생시 유지관리의 주체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준공된 뒤 인수인계 절차를 밟아 개통하겠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2021년 현장조정회의를 갖고 충주시사회단체연합회가 충주댐 관광자원화를 위해 제안한 경관조명과 분수대를 신충원교에 설치하도록 중재해 이 문제도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신충원교 개통이 계속 지연되면서 인근에서 영업 중인 음식점과 카페, 편의점 등 10여 곳의 상가들은 영업 부진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인 김모(56) 씨는 "공사가 계속 지연되고 충원교가 장기적으로 통제되면서 인근 상권은 심각한 침체에 빠져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며 "이미 문을 닫은 곳도 있는 만큼, 실질적인 보상이나 지원책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충원교 통행이 금지된 이후 마즈막재를 통해 충주댐으로 가던 충주시민들이 대부분 목행동 방면으로 돌아 동량대교를 이용하고 있어 충원교 인근은 차량통행이 뜸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