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농어촌버스 무료에 시외버스·택시업계 한숨
외지인도 포함 내달부터 시행 업계 "적자 가중 대책마련 필요"
[중부매일 김영이 기자] 보은군이 오는 7월 1일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갈 농어촌버스 무료 승차 '불똥'이 시외버스와 택시업계를 강타할 것으로 보인다.
교통복지 확대라는 긍정적 이면에 시외버스·택시업계의 목줄을 죄는 '풍선효과'가 불 보듯 뻔해 상생책 마련이 절실하다.
일각에선 외지에서 온 사람들한테까지도 무료승차를 제공하는 것은 '과잉' 아니냐는 지적도 한다.
보은군은 당초 70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하려던 농어촌버스 무료 승차제를 보은군민 뿐 아니라 외지인도 포함해 오는 7월1일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간다. 승차 횟수 제한도 없다.
군은 이에 따른 버스비 보조금을 연간 약 9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어촌버스업체인 신흥운수에는 종전 손실보전액 38억원에 버스비 보조금을 합쳐 연간 약 47억원 보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은 노선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업체와 택시업계에선 무료 승차제가 가져올 승객 감소 등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농어촌버스를 '공짜'로 탈 수 있는데 굳이 돈 내고 택시나 시외버스를 탈 사람이 몇 명이나 있겠느냐는 거다.
보은 노선을 운행하는 새서울고속은 무료승차로 적자 가중이 뻔해 노선 변경 등 대책을 충북도에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서울고속은 청주 17회, 대전 8회 등 동서울, 강남, 수원, 상주, 점촌 등지에 하루 40여 회에 운행하고 있다.
보은~청주 노선의 경우 고속도로나 4차선 지방도가 아닌 2차선 구도로(보은읍~산외면~내북면 창리)를 이용해 운행하고 있다.
새서울고속의 한 관계자는 "구도로 운행으로 시간이 1시간 30분 이상 걸리고 창리에서 타는 승객도 하루 한두 명에 불과하다"며 "아무런 대책도 없이 무임 승차제를 도입해 시외버스 업계를 고사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보은 북부매표소와 창리, 속리노선은 폐지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보은시외버스터미널 관계자도 "보은~청주를 고속도로로 하루 4회 운행하는 버스는 운행시간이 40여 분밖에 안 돼 승객들로부터 인기가 있다"며 "승객 편의 중심으로 노선을 개편해 시외버스 적자 폭을 줄여주는 등의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은 개인택시업계도 신경을 곤두세우기는 마찬가지다. 조천식 개인택시지부장은 "보은에서 택시 72대는 너무 많다. 계획대로 감차(5년 동안 22대) 하되 보상비도 8천 100만원에서 올리고, 사랑택시 구간 역시 확대해 택시업계에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올 초부터 무료 승차제를 시행 중인 진천·음성군의 경우 지난 1분기 동안 시외버스 승객이 60%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충북도는 이달 말까지 승객 추이를 살펴본 뒤 노선 조정 등의 대책 마련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아직 업계로부터 공식적인 요구사항을 받지 못했지만 일부 지자체의 무료승차 시행으로 시외버스 업계가 위기를 맞고 있다"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