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는 대부분 비대면을 기반으로 한다. 직접적인 접촉 차단은 감염병의 전파를 막는데는 매우 유용하지만 대면으로 이뤄졌던 일상의 많은 부분들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필요로 했다. 이를 풀어낼 대표적인 방안이 디지털 기술이다. 디지털 기술을 통한 비대면의 일상화가 코로나19가 만들어낸 오늘의 또다른 모습이다. 하지만 급격한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는 이용자들의 처지에 따른 정보격차를 유발시켰다. 결국 디지털 정보격차, 즉 디지털 불평등은 코로나19 시대의 숙제인 셈이다.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는 코로나 전부터 제기됐던 것으로 특히 노인층의 우려가 컸다. 디지털 사회로 가는 장기적·단계적 과제였던 정보격차가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발생하면서 불평등이 제기될 정도로 심각해졌다. 고령층은 변화에 대한 적응이 쉽지 않은데다가 교육기회 등 이를 따라잡을 여건도 부족하다. 그렇지만 현실은 고령층에게 가혹하기만 했다. 마스크 구입사태때 드러났듯이 디지털 정보격차는 불편을 넘어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터넷이 아니더라도 키오스크 등 새로운 디지털 환경이 강요되고 있다.

고령층의 디지털 불평등을 챙겨야 할 이유로는 코로나로 인한 일상의 변화 외에도 가파른 고령화가 있다. 충북의 경우 전체인구의 18%가 65세 이상이다. 게다가 도시화가 되지 않은 농촌지역은 더 취약해 도내 7개 시·군이 20%를 넘었다. 보은·영동·괴산·단양 등 4개군은 이미 초고령화 사회(30%)가 됐다. 주민 세명중 한명이 노인인 사회에서 고령층의 디지털 불평등은 미룰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더구나 불평등 해소가 생각보다 어려울 수 있다. 시설 설치나 교육기회보다 권리에 대한 인식이 우선이다.

노인 스스로 불평등한 디지털 정보격차를 인식하고, 해결을 요구하며 권리를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당장 문제가 되는 정보 접근권 확보는 너무도 당연한 주문이다. 이제서야 주목받는 게 이상할 정도다. 충북도내 노인의 60% 이상이 이용하는 경로당의 인터넷 설치율이 16%라는 사실에 우리 모두는 부끄러워해야 한다. 인터넷 인프라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나라의 창피스러운 민낯이다. 그것도 100%인 영동·증평과 접한 보은·옥천이 1%대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지역별 편차가 너무 크다.

이같은 디지털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은 이미 나와 있다. 경로당 등 노인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공공형 인터넷 및 와이파이를 설치하는 것은 시작일 뿐이다.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이 뒤따라야 한다. 청년과 노인을 묶어 강사로 쓰면 교육효과와 일자리 창출 등 일석이조가 기대된다. 눈에 보이는 교육에 그치지말고 새로운 사회활동과 도전의 기반으로 발전시킬 필요도 있다. 코로나 블루의 피해는 고령층도 예외가 아니다. 예측할 수 없는 내일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런 준비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