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 김학수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교수님은 MBTI가 뭔가요?", "앞에서 말씀하시는 것 보면 E 같아요 E!"

필자가 강의하고 있는 범농협 신규직원 대상 '뉴리더 농협가치 향상교육' 수강생들로부터 자주 듣는 말 중에 하나다.

20~21년 입사한 신규직원들이 교육 대상이다 보니 수강생 거의 대부분이 MZ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요즘 MBTI가 대세다. 특히 신세대라 불리는 MZ세대들에겐 더욱 그렇다.

실제 MZ세대는 처음 만난 사람에게 조차 '그런데 MBTI는 어떻게 되나요?'를 물어보는 게 당연한 일이라고 한다. MBTI를 통해 만나는 사람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비슷한 유형들의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직업이 무엇인지, 어느 학교를 나왔는지, 고향이 어딘지 등 마치 면접관처럼 개인의 인적사항을 궁금해 하는 기성세대와는 전혀 딴판인 셈이다. 그런데 이제 MBTI가 MZ세대의 유행을 넘어 점차 사회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최근 모기업 채용과정에서 특정 MBTI 유형을 입사조건으로 내세운 일도 있었으니 말 다했다. MBTI는 심리학자 구스타프 융의 심리유형 이론에 근거를 둔 개인성격유형검사다. 사람들마다 타고난 기질과 성향, 저마다 선호하는 경향이 다르지만 어떤 공통된 특징에 따라 묶을 수 있다는 전제에 따라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한다.

김학수 농협이념중앙교육원 교수<br>
김학수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여기서 MBTI가 과학적인 것이냐 아니냐를 논하자는 게 아니다. 다만 MZ세대를 대표하는 문화라고 할 수 있는 MBTI에 대해서 기성세대들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흔히 '꼰대'라고 불리며 MZ세대와의 소통에 문제가 있는 기성세대들에겐 더욱 그렇다. 물론 어떤 사람의 모든 생각과 행동을 MBTI유형에 가두고 규정하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 MBTI는 개인의 선호경향을 보여주는 것이지 '옳다', '그르다'를 판단해 주지는 않기 때문이다.

'꼰대'들이여 지금부터 MBTI에 관심 가져 보는 것은 어떤가. MZ세대, 그들의 생각과 행동은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다.

키워드

#독자편지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