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협약' 관련 자료사진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협약' 관련 자료사진

충청권을 하나의 경제·생활권으로 묶고 국가 균형발전을 선도해 나갈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이 첫발을 내디뎠다. 충북, 충남, 대전, 세종을 '경제 공동체'로 묶은 후 종국에는 행정구역까지 통합하는 하나의 특별자치단체로 만들어 수도권 중심의 일극 체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지난달 31일 4개 시·도지사와 시·도의회 의장이 참석한 가운데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협약식' 및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 출범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중앙부처 관계자들도 함께했다. 정부는 초광역 협력이 가능하도록 도로나 철도 등 각종 협력 사업에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일명 '충청권 메가시티'는 지난 2020년 11월 논의가 시작된 후 2년 2개월 만에 첫 열매를 얻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 충청권 시·도지사들이 메가시티 추진 합의문에 서명한 뒤 여러 준비작업이 진행됐다. 그러나 지난해 6·1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권 광역자치단체장이 모두 국민의힘 소속으로 교체되면서 메가시티가 좌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우려 속에 윤석열 정부가 국정과제에 메가시티를 포함하면서 이번에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이 가시화됐다. 특별자치단체는 충청권 상생발전과 국가 균형발전 선도모델을 실현하는 동시에 국가 혁신성장을 이끌 수 있는 주춧돌로 중추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충청권 4개 시·도는 특별지자체를 실질적으로 추진할 합동 추진단을 출범시켰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이 멀다. 충청권에 앞서 소위 메가시티를 추진하며 장밋빛 미래를 제시했던 다른 자치단체들이 사실상 좌초됐다. 실제 부산·울산·경남, 즉 부·울·경 특별지차체는 지난해 4월에는 정부 승인까지 받아 국내 첫 메가시티로 닻을 올렸다. 그러나 지난해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단체장이 바뀐 울산과 경남이 불참을 선언했다. 특히 의회에서 폐지안을 가결했다. 대구·경북도 지난해 3월 메가시티 설립을 위한 광역행정기획단까지는 출범시켰지만 결국 사무국이 폐지되며 무산됐다.

충청권 특별지자체가 완성되기까지 불안한 요소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당장 KTX세종역 문제로 충북과 세종이 갈등을 빚고 있다. 또 미래 먹거리로 평가받는 첨단 산업 유치 등에서도 충청권 시·도간 접점을 찾기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자치단체장 간 정치적 이해 관계가 엇갈릴 때 이를 조율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여러 우려가 상존하지만 충청권은 지난해 4개 시·도간 협력해 2027년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공동 유치라는 협력의 성과를 얻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 균형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하는 모범사례가 되도록 충청권이 힘을 모아야 한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