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눈] 염우 풀꿈환경재단 상임이사

지난달 말 청주에서 전국환경교육포럼을 개최하였다. 포럼의 주제는 '환경교육 현실적인 해법찾기'였다. 전국의 광역환경교육센터에 대한 2024년 정부 지원금이 전액 삭감되었기 때문이다. 예산의 삭감도 그렇겠지만 이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논의구조조차 없다는 것이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그늘진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 심경이 매우 씁쓸했다.

환경교육에 대한 예산지원은 들쭉날쭉 매우 심각하다. 충북환경교육센터의 경우 지정 초기 2년간 예산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021년부터 도비 지원금으로 운영을 시작했고, 2023년 처음으로 국비 지원금을 확보하였다. 안정적 운영을 시작하였는데 2024년 정부 예산 감축에 따라 국비 지원금이 다시 삭감되었다. 녹색구매지원센터 운영비, 지속가능발전협의회 기후변화대응 사업비, 탄소중립지원센터 운영비, 심지어 수계기금으로 운영해 오던 민간수질보전활동 지원사업비도 삭감되었다.

환경교육의 암울한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는 더 있다. 민·관 협력의 성공모델로 평가되어 온 초록학교 실천협력사업이 2024년부터 중단되었다. 충북도교육청은 자체 운영하겠다는 이유를 들었지만 결국 6년 동안 지속되었던 지역사회 협력사업은 중단되었고 사회-학교환경교육 협력체계는 붕괴되었다. 청주시 원흥이생태공원 위탁사업 중단도 비슷한 사례이다. 2019년 청주시의회가 위탁동의안을 부결시켰고, 10년 동안 지속해 온 민간단체 위탁운영도 종결되었다.

환경교육 예산이 삭감되었다고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삭감된 건 아니다. 기후위기 극복과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환경교육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티핑포인트인 지구평균기온 1.5℃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최선의 교육과 실천이 필요하다. 기후위기 상황 속에서 위기에 처한 환경교육의 현실적인 해법을 찾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상생과 협력을 강화하며 환경교육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환경운동의 목적은 상생, 환경운동의 방법은 연대와 협력이다. 환경교육도 상생과 협력의 원칙을 강화해야 한다. 기후위기의 절박성을 고려한다면 '위기 속 전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충청북도 탄소중립 실천협력체계 구축을 제안하였고 현재 추진방안을 협의 중이다. 충북환경교육센터는 내년 초 충북환경교육네트워크 조직체계를 전면적으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둘째, 환경교육을 위한 다양한 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산업체와 지자체, 환경단체의 협력사업으로 건립된 청주희망그린발전소의 발전수익금을 활용한 아동청소년 교육복지사업은 좋은 사례이다. 연간 6,천만원의 기금운용을 통해 환경리더 발족과 운영, 장학금 수여, 체험환경교육 실시 및 공익자원활동 전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기업의 ESG경영과 연계하여 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하고 환경교육기금을 조성하는 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환경교육의 본령인 '실천으로 모아내기'에 집중해야 한다. '환경교육'이란 환경의 보전 및 개선을 실천하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다종다양한 환경교육이 실천행동으로 귀결될 수 있게 온라인 참여플랫폼을 구축하고 공동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한다. 탄소중립 실천서약 같은 방식이다. 주제와 장소, 유형은 달라도 실천으로 모아낼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면 기후환경 위기에 대한 대응력도, 환경교육 위기에 대한 대응력도 증폭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환경교육활동가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결집된 힘과 조직화된 역량이 필요하다. 환경강사, 교육사, 리더, 해설사, 안내자, 지킴이 등 네트워크를 통해 환경교육활동가들의 권익 보호와 역량 강화 등 공동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단체와 지역을 중심으로 협동조합 같은 강사모임을 조직하고 전국적인 연계망을 만들 수 있다면, 환경교육 정책에 대한 여론조성도 가능하고 공동행동도 가능할 것이다.

염우 풀꿈환경재단 상임이사
염우 풀꿈환경재단 상임이사

끝으로 시설과 공간 등 환경교육자원을 공유해야 한다. 정부의 정책적·재정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환경교육 주체 간의 지원과 협력이 더욱 큰 힘이 될 수 있다. 환경교육시설, 탐방체험공간, 교육프로그램, 교재나 교구, 자료와 정보, 교육인력 등 각각이 보유하고 있는 환경교육자원의 공유가 필요하다. 공동이용, 공동활용, 공동운용이 가능하다. 위기의 환경교육을 상생과 협력으로 극복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