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소비자물가가 2년째 3% 넘게 오르면서 고물가 흐름이 이어졌다. 지난달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지수는 111.59(2020년=100)로 작년보다 3.6% 올랐다. 올해 연간 물가를 견인한 건 공공요금이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전기료와 도시가스 등의 가격 인상으로 20.0% 뛰었다. 관련 항목을 집계한 2010년 이후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건물의 가스계량기. /연합뉴스
연간 소비자물가가 2년째 3% 넘게 오르면서 고물가 흐름이 이어졌다. 지난달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지수는 111.59(2020년=100)로 작년보다 3.6% 올랐다. 올해 연간 물가를 견인한 건 공공요금이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전기료와 도시가스 등의 가격 인상으로 20.0% 뛰었다. 관련 항목을 집계한 2010년 이후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건물의 가스계량기. /연합뉴스

고환율 고금리 여파 속에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3%를 넘어섰다. 2년 연속 3%대 물가상승률이 이어진 건 19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초 정부가 내걸었던 2%대의 물가상승률 유지 목표는 사실상 공수표가 되어 버렸다.

서민경제와 직결된 전기와 가스·수도 등 더는 줄일 수도 없는 분야에서 상승폭이 두드러지면서 물가상승세를 주도했다. 

지난해 말 통계청이 발표한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지수는 1년 전보다 3.6% 올랐다. 2022년 5%대보다 조금 낮은 수치지만 고물가 흐름른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가장 큰 분야는 공공성 요금으로 분류되는 전기·가스·수도 물가로 1년 전보다 무려 20.0% 치솟았다. 이로 인해 전체 물가상승률을 0.68%포인트를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동했다. 이 또한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특히 서민경제와 직결된 농·축·수산물 상승 또한 예상 외로 컸다. 잦은 이상기온 여파로 사과(24.2%)와 귤(19.1%), 딸기(11.1%), 파(18.1%) 등 주요 농산물 인상폭이 두자릿수를 넘어섰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물가, 즉 생활물가지수 상승률(3.9%)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소비자 물가 여파는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음식값 인상과 외식비 부담으로 이어졌다.

설탕과 밀가루 등 수입원자재 가격이 인상되면서 생산자물가가 인상될 수 밖에 없고, 이는 고스란히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무역 시장의 흐름도 좋지 않다. 10대 수출효자 품목로 꼽히는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가 지난해 말 저점을 찍고 흑자로 돌아섰지만, 지난해 우리나라 연간 수출액은 7% 감소했다. 이로 인해 무역수지는 100억 달러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했다.

공공성 요금 인상과 직결되는 국제유가 또한 여전히 불안하다. 내수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가는 국제수급 불균형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8월에 3.4%로 오름세를 보인 이후 5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듯, 2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민생안정을 위해 물가안정과 내수 활성화를 우선 과제로 꼽았다.

문제의 핵심은 경제성장과 동시에 물가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달렸다. 한국은행 등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예측한 2024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평균 2.0%로 그칠 정도로 경기지표가 좋지 않다, 저성장 기조에 물가를 잡지 못한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서민경제를 압박하는 공공성 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생필품을 중심으로 물가관리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소비자 물가 관리를 1순위에 두는 일, 그것이 민생안정의 첫 과제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