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함 등 유전체 연구 기여 기대

[중부매일 정은모 기자] 미래부는 암유전체 빅데이터에서 유전자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해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찾아내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현재 각광받는 암유전자 발굴 방법은 돌연변이의 빈도가 낮은 암 유전자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 한계를 극복하여 유전자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새로운 암유전자 발굴 시스템이 개발됐다.

암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암유발 유전자를 발굴하고 확보해야 하는데 그 노력의 일환이 유전체 빅데이터 생산이다.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술의 발달로 인간 유전자 전체의 염기서열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되어 암 환자 유전체에 적용되어 암유전체 빅데이터의 생성을 촉진했다.

이는 종양 부위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정상조직 유전체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하여 암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돌연변이를 많이 보이는 유전자를 암 유전자로 발굴하는 것으로 현재 각광받는 암유전자 발굴 방법이다.

하지만 암유전체 빅데이터만 분석하는 방법은 돌연변이의 빈도가 낮은 암 유전자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근래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전자 소셜 네트워크를 비롯한 추가적인 생물학적 정보를 통합하는 새로운 알고리즘들이 각광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유전자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암유전체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암 유전자를 예측, 발굴하는 웹기반 예측 시스템 머핀개발했다.

개발된 네트워크 기반의 방법을 기존 암유전체 빅데이터와 통합하여 분석하면 현재 알려진 3~4백개의 암유전자보다 더 많은 새로운 암유전자의 발굴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이번 개발된 방법을 국제 유전체연구팀이 발표한 18종의 암유전체 빅데이터를 개발된 시스템에 적용시켜 본 결과, 잘 알려진 암유전자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암 유전자도 효과적으로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돌연변이 출현 빈도가 낮아서 기존의 통계적 방법으로는 예측이 불가능했던 다수의 유전자들이 머핀 시스템으로는 효과적으로 예측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돌연변이 빈도가 낮은 암 유전자는 발굴이 어렵기 때문에 오랫동안 암유전체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해 왔던 주제로 머핀 시스템이 유전자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를 상당수 극복했다.

정은모 / 대전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