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편제를 보면서 서편제 소리에 저리도록 끌리던 여운이 아직도 남아 있다. 그런 내게 충청도의 판소리가 별도로 있음이 알려진 게 며칠 전이다. 중고제 ...
지난 2월 한 태권도전문지가 주최한 온라인태권도영상경연대회가 열렸다. 1천만원상당의 상금이 있는 이 대회에 전국의 태권도선수와 수련생들이 참가했다. 코로나...
한류 확산의 핵심요소로 콘텐츠, 예술, 관광 등을 떠올린다. 모두 문화의 영역이다. 이 문화의 토대가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지난 4개월간 코로나19 사태로...
재능기부라는 말이 곧잘 쓰인다. 자선 사업이나 공공사업을 돕기 위하여 개인의 재주와 능력을 대가 없이 내놓는 일이 재능기부라고 어학 사전에 되어 있다. 의...
세계가 우리를 주시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요즘 의료체계가 공적으로 비교적 잘 되어 있고 국민들이 질서를 제법 잘 지키는 것 뿐인데 전세계의 느닷...
필자가 고등학교를 다녔던 90년대 당시, 천안의 번화가는 천안 역전의 대흥동 명동거리였다. 현재는 원도심이 되어 천안 도시계획의 화두다.지난해 12월 문체...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은 왔건만 봄 같지 않다.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시기다. 소상공인은 물론 산업계 전반이 어렵다. 문화예술 현장과 관광업계는 ...
청주 수동에 시청의 주차장으로 쓰이는 공터가 있다. 내가 태어나 살던 집이 있던 곳이다. 삼년 전에 철거된 그 집이 가끔 그리울 때가 있다.그림 그리기는 ...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고 예술작품을 창조하는 크리에이터와 예술가들에게 희소식이 있다. 지난해 7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남한의 고분벽화'를 출간...
토종에 대한 워크샵이 경기도 수원의 서호 곁에 위치한 농민회관에서 있었다. 이날의 주제는 쌀이다. 쌀과 밀로 구분되는 동서양 문화 차이에 대한 짧은 설명이...
세계문화유산 종묘에서 오늘날까지 600여 년을 이어온 제사가 있다. 종묘대제다. 종묘제례는 조선왕실의 국가제사로 규모가 가장 크고, 중요했던 의식이다. 현...
우연은 놀라운 힘이 있다. 어느 순간 홀연히 전혀 다른 차원으로 이끌곤 한다. '강우방의 눈, 조형 언어를 말하다 展'의 관람도 그랬다. 인사동을 걷다...
얼마 전이 동지였다. 12월 22일. 일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일양시생(一陽始生)이라고 해서 양 하나가 비로소 시작되는 날이라고...
지난 12월 10일 국회에서 정부예산이 심의·확정됐다. 문체부 예산이 6조 4천803억 원, 문화재청 예산은 1조 911억 원으로 각각 역대 최대 수준이다...
소로리 마을에 도착하자 마을 주민들이 마을 회관 앞 공터에서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고 있었다. 토종 배추인 구억배추이다. 올 봄에 우리 조합에서 이 마을로부...
민선 7기가 출범한 지난해부터 지방정부는 국립국악원을 내 고장에 유치하기 위한 열기로 뜨겁다. 국립국악원 유치가 단체장의 공약사업에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
필자는 문화예술 프로젝트의 마스터플랜을 설계하는 문화정책컨설턴트다. 동시에 문화재, 전통예술 분야의 연구자이기도 하다. 작년부터 고대사 속의 음악과 춤 재...
서울 노원구 등나무 근린공원에서 열린 마들장에 참여했다. 농업관련 시민단체에서 주관하는 마들장은 프리 마켓으로서 보통의 시장과 다르다. 보통의 시장이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