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생산 사상 최대 감소 기록

경제가 갈수록 침체의 수렁 속으로 빨려들어가고 있다.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맡아온 수출은 점차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내수경기가 ‘미약한 회복’의 조짐도 없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내수경기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반짝 회복세’를 접고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가계 씀씀이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가 한결같이 죽을 쑤고 있다.
 이러다가는 내수기반 자체가 흔들려 복원력(復元力)을 잃는게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가 각종 경제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며 뒤늦은 ‘시각교정’에 나선 것도 이같은 경제상황의 심각성을 반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 내수지표 마이너스 일색
 내수 불황의 골은 점점 더 깊어지고 있다.
 7월중 서비스업 생산은 작년 7월보다 1.2% 줄어 통계청이 서비스업 동향 통계를 내기 시작한 지난 2000년 이후 사상 최대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소비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소매업이 0.7% 감소, 전월(0.3%)보다 오히려 낙폭이 커지면서 무려 18개월째 마이너스 감소세다.
 자동차 판매는 전반적 수요부진에 신차출시 대기효과까지 겹쳐 9.0% 줄었다.
 지난달 반짝 증가율(0.6%)을 보였던 숙박.음식점업이 휴가철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마이너스(-0.4%)로 돌아섰다.
 부동산.임대업은 건설경기 불황과 설비투자 위축의 직격탄을 맞아 작년 7월보다 11.5% 줄어 4개월 연속 두자리수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 소비심리 급랭..소비자들 지갑 더 닫아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가계는 더욱 씀씀이를 줄이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먹고, 입고, 노는’ 활동을 자제하려는 비경제적 소비행태가 오히려 확산되는 분위기다.
 장바구니 경기를 보여주는 백화점.할인점.슈퍼마켓 등 종합소매부문은 지난 7월 1.8% 감소, 지난 6월(-0.9%)보다 더 부진했다.
 음식점업 가운데에는 그나마 매출이 좋았던 제과점업이 15.3%의 감소세를 보였고 일반음식점도 -1.9%로 8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 물가는 고공행진..소비회복 기대난
 이런 가운데 물가마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우리 경제에 설상가상이 되고 있다.
 소비부진으로 내수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물가가 급등, 가계의 부담이 늘어나고 이는 다시 소비부진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4.8%로 3년1개월만에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한데 이어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자물가도 급등세가 지속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8월중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2000년=100)는 1 08.7로 작년 8월에 비해 7.5% 올랐다.
 이는 1998년 11월의 11.0% 이후 5년9개월만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생산자물가가 급등한 것은 폭염과 태풍의 영향으로 채소류를 중심으로 농림수산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는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지만 유가 등 원자재가격의 고공행진을 감안하면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저성장, 고물가로 대변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체감경기는 더 얼어붙어
 지표도 문제이지만 체감경기가 더 얼어붙고 있는 점이 염려스런 대목이다. 특히 올 하반기 회복이 기대됐던 기업의 투자심리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신용보증기금이 1천700개를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경기실사조사 결과에 따르면 3.4분기의 경기실사지수(BSI)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3.4분기의 56이후 가장 낮은 81로 조사됐다.
 ◆ 조기회복 기대난…정부 ‘시각교정’
 이처럼 경제가 회복세로 전환되기는커녕 그대로 주저앉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정부의 시각과 대응태도도 점차 바뀌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6일 MBC 특별대담프로에서 “성장정책의 효과가 참여정부 말년 또는 다음 정부때 나타날 것”이라고 밝힌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은 분배정책의 중요성을 빼놓지 않았지만 “성장 정책은 한시도 놓치지 않고 있고,강력한 성장정책을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헌재 부총리 겸 재경부장관이 지난달 27일 정례브리핑에서 “경기 회복을 체감하려면 앞으로 1년은 더 있어야 한다”고 한 발언과도 맥을 같이한다.
 경제정책의 방향을 정하고 집행하는 대통령과 경제부총리가 경기침체가 예상보다 장기화할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