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프레스센터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운동' 출범식에서 언론 3단체장이 서명날인 후 서명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왼쪽부터)이하경 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 회장, 정규성 한국기자협회 회장. / 한국신문협회 제공
1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프레스센터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운동' 출범식에서 언론 3단체장이 서명날인 후 서명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왼쪽부터)이하경 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 회장, 정규성 한국기자협회 회장. / 한국신문협회 제공

 

한국언론회관으로 불리는 프레스센터는 '언론의 전당'으로 불린다. 프레스센터는 1980년대 초반 언론인들의 염원을 담아 언론계 공동자산인 신문회관 전 자산과 서울신문 자산을 토대로 설립된 공익 시설이다. 이곳에선 언론단체의 세미나·토론회 등이 연중무휴로 열리고 기자들의 기사 송고를 위한 첨단 송수신 통신 서비스망이 갖추어져 언론인들의 발길이 잦은 곳이다. 하지만 프레스센터의 소유권자는 언론계가 아니라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다. 전두환 정권이 언론계의 반대를 무릅쓰고 시설 소유권을 코바코 앞으로 등기하도록 강행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론계는 곁방살이를 하고 있다. 프레스센터의 진짜 주인이 돼야할 언론계가 세입자 신세를 면치 못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언론계의 공적 자산으로서 프레스센터가 갖는 상징성과 공공적 가치를 감안하면 프레스센터는 언론계가 주인이 돼야 한다.

한국신문협회와 한국기자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등 언론 3단체가 어제 프레스센터에서 '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식을 가진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시기적으로도 프레스센터를 언론계 품에 안을 수 있는 기회다. 명목상 소유권자에 머물던 코바코가 수년 전부터 프레스센터에 대한 재산권을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그 동안 시설의 관리·운영을 맡고 있던 한국언론진흥재단을 상대로 2016년부터 민사소송 등 법적 절차가 진행 중이다. 코바코는 2013년말 언론재단에 1년 단위의 무상위탁계약 '종료'를 통지하고, 2016년에는 '시설 점유에 따른 부당이익금'을 돌려달라며 서울중앙지법에 조정을 신청했지만 조정이 결렬돼 지난 1월 민사소송으로 전환했고 다음달 8일 선고를 앞두고 있다.

언론계는 "정부가 100% 지분을 가진 코바코가 언론계 공익시설인 프레스센터 소유권을 내세우며 '부당이득'을 내놓으라고 소송까지 한 것은 시설 목적에 맞지 않는 주장"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프레스센터 소유권자 문제는 언론계 오랜 현안이다. 이미 5공 정권이 끝난 뒤부터 시설 소유구조 문제가 제기됐고, 1989년 문화공보부가 '프레스센터는 설립목적에 맞게 소유권을 한국언론회관에 귀속시키는 것이 옳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다. 2013년 5월 언론사 논설실장및 해설위원들이 참석한 청와대 오찬에서도 "프레스센터와 코바코 연수원을 언론인에게 돌려달라"고 대통령에게 건의한바 있다.

프레스센터는 관훈클럽·한국PR협회·언론중재위원회·언론개혁시민연대·대한언론인회·한국교열기자회 등 각종 언론단체가 입주해 상호협력과 친목도모가 이뤄지고 기자클럽, 내셔널프레스클럽 등 언론인과 취재원의 자연스런 만남이 이루어지는 소통공간이자 국제회의와 기자회견, 토론회등이 열리는 국내외 뉴스의 산실이다. 직원들의 평균연봉이 9268만원으로, 35개 공기업 중 한국마사회에 이어 2위인 코바코가 운영수입을 한 푼이라도 더 챙기기 위해 프레스센터의 재산권을 갖는다면 언론발전에 역행하는 것이다. 프레스센터 환수는 전 언론인들의 염원이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프레스센터의 건립취지에 따라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언론계의 품으로 돌려줘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