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대 충북도교육위원 7명이 선출됐다.교육위원선거가 끝남에 따라 이제부터는 모든 교육주체들이 하나가 돼 그동안 불신을 털고 충북교육 발전과 화합을 위해 온힘을 쏟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11일 도내 4백44개 초·중·고등 학교운영위원 4천5백95명의 선거인단이 참여해 실시된 이번 선거는 4천1백2명이 선거에 참여,89.3%의 높은 투표율을 보여 교육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에 부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006년 7월말까지 충북교육의 발전과 성장을 이끌어가는 중책을 맡게된 교육위원들은 비록 명예직에 속하지만 교육자치와 관련하여 갖는 권한은 작지 않다.교육 및 학예에 관련된 각종 조례안과 예결산 및 기금과 재산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 의결하고 행정사무에 대한 감사 및 조사권을 쥐게 된다.
 이에따라 교육위원은 교육행정에 대한 견제와 감시를 통해 교육의 질적향상을 꾀함은 물론 ‘국가 백년지 대계’라고 하는 교육의 집행을 감시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는만큼 우리들의 2세 교육을 위해 힘써야할 것이다.
 그러나 지난 91년 지방교육자치법 시행이후 지금까지 교육위원들이 과연 도민들의 기대에 걸맞는 교육행정의 집행을 견제,감시하고 그 대안을 마련했는가에는 한마디로 긍정적이지 못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일부의 이권 및 인사에 개입하는 등 오히려 교육발전을 저해하는 사례가 종종있어 심지어 교육위원 무용론까지 제기되는 등 부정적인 면도 없지 않았다.
 특히 충북교육은 그동안 김영세전교육감의 뇌물수수 사건 등으로 전교조를 비롯한 시민단체들이 퇴진에 앞장서면서 교육주체간 분열과 불신 등으로 충북교육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해왔다.따라서 새로 선출된 교육위원들은 충북교육에 대한 사명감을 갖고 교육발전과 교육주체들간의 화합 등에 이바지해야할 중차대한 책임이 따르고 있다 하겠다.
 이런 면에서 이번 교육위원 선거에서 여성과 학부모 대표이자 교육행정의 아웃사이더였던 전교조 등 교원단체의 대변자로 출마한 교육위원이 처음으로 당선됨에 따라 그동안 꼬였던 교육당국과 교원단체간의 물꼬가 트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번 선거를 통해 선거의 미흡한 점도 드러나 개선점이 요구되고 있다.가장 큰 문제는 선거규정이 너무 제한적이어서 불·탈법을 조장하는등 문제점이 드러나 선거규정 등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공보발송과 소견발표 2회,언론사나 단체의 토론회 등으로만 제한돼 유권자들에게 자신을 알릴 기회가 적다.소견발표회의 참석자가 선거인단의 10-20%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로인해 후보들은 유권자의 표을 얻기위해 특정단체의 지지를 얻거나 지연 학연 등의 인맥을 총동원하는 바람에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아무튼 선거는 끝났다.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이에따라 교육자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어느 선거방법이 효과적인지 이에 대한 선거법 개정 등의 연구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