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이 세계 주요 선진국 여성보다 아이를 적게 낳고 있다는 통계가 지난 26일 발표됐다.
 지난 해 출생·사망신고서의 인구동태 항목을 분석한 통계청의 「2001년 출생·사망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아이가 1.30명으로 미국 2.13명은 물론 프랑스 1.89명, 영국 1.64명 보다 훨씬 적었다. 아이를 적게 낳는 「소시카 현상」과 만산화 경향 때문에 일찌감치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일본이 1.33명이었다.
 이번 통계와 앞서 발표된 몇몇 결과들을 종합할 때 우리 사회 공동체 재생산과정에 빨간 불이 들어오고 있음은 명백해보인다. 통계상 평균 26.8세의 늦은 나이에 처음 결혼하는데다 한창 신체적 활동이 원활한 20대 여성이 출산하는 비율은 99년 43.5%에서 2000년 39%, 2001년 31.6%로 떨어지고 있다. 출산당시 평균 연령 또한 99년 28.7세, 2000년 29.1세, 2001년 29.3세 등으로 올라가고 있어 30대 출산 여성이 전체의 50.2%를 넘었다.
 2000년 현재 전체 가구의 14.8%가 이른바 「딩크(DINK·Double Income No Kids)」족에 해당된다는 수치도 의미심장하다. 출산율의 계속적 저하, 무자녀 부부의 증가, 첫 출산 연령의 상승 등을 징표로 하는 딩크문화의 확산은 임신·출산·양육과 관련된 우리 사회 전반의 수행 및 가치체계가 극심한 혼돈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 변화의 요점은 차라리 단순명쾌하다. 바로 앞의 어머니세대까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던 사회문화적·이데올로기적 강제가 젊은세대들에게 통하지 않게 됐다는 것이며 이러한 추세는 쉽게 되돌릴 수 없을 것이다.
 지금 가임세대들이 임신과 출산을 개인적 선택의 문제로 받아들이면서 거부 의사를 표명하는 것은 사실 예정된 결과이기도 하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구성원의 생산 및 교육에 따르는 의무와 부담을 개별 구성원, 특히 그중에서도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부여하고 그에 따르는 의무는 소홀히했기 때문이다.
 경제활동에 종사하건 가사노동에 전념하건 간에 출산과 육아는 여성들의 삶의 질을 원천적으로 왜곡하고 압박하는 가장 중대한 문제였다. 하지만 그 부담을 함께 해소하자는 여성들의 요구는 외면됐었다. 최근 일련의 모성보호와 여성인권 관련 법률이 보완되고는 있지만 언제나 법은 빠른 속도로 달려나가는 현실의 그림자도 좇지 못하기 마련이다.
 최근 두드러지는 출산율 감소 등의 지표는 결국 그같은 이상과 현실의 격차를 출산거부로써 해소하려는 젊은 세대들의 자발적 선택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선택은 한 사회가 건강하게 성장해나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동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대안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다면 젊은 세대, 특히 여성들에게 아이를 갖도록 설득하는 작업이 더이상 늦춰져서는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임신과 출산, 양육에 따르는 공포감과 두려움을 해소시킬만큼 신뢰할만한 사회안전망과 지원장치를 갖추는 작업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