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문제는 우리 사회가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어려운 과제 중의 하나이다.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8%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 사회는 유엔이 정한 「고령화사회」. 이제 그 수치가 전체의 14%를 넘어서는 2019년이 되면 「고령사회」로 접어들게 된다.
 대개의 선진국가들이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1백년 즈음한 시간들을 필요로 했던 데 비해 고작 19년의 짧은 시간동안 진척될 고령사회로의 급격한 이행은 미처 우리 사회가 준비하지 못한 심각한 과제와 후유증들을 양산할 것으로 우려된다. 그 중에서도 현재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게 바로 노인성 치매환자 문제다.
 치매는 노화에 따른 뇌의 퇴행성 변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노년성 정신장애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에서는 현재 65세 이상 노인의 8.3%에 이르는 28만명의 환자수가 집계돼있다. 지난 2000년 7.6%였던 이 숫자가 2020년이면 전체 노인의 9%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는 환자 주변의 가족과 친지들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황폐화시키며 극도의 고통을 안겨주는 질병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치매환자의 관리가 전적으로 가족 구성원 등에게만 맡겨져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치매노인 때문에 고통을 겪어본 이들은 한결같이 지적하고 있다. 치매노인 문제는 결코 「효」라는 이름의 전통적 가치규범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다른 어떤 질병보다도 더욱 사회적 관심과 공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바로 이같은 점에서 일부 군보건소가 치매환자 상담신고센터를 개설, 치매환자 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은 치매환자에 대한 공적지원의 한 사례가 되고 있다.
 실례로 괴산군보건소는 현재 등록된 관내 치매환자 48명을 대상으로 상담서비스를 실시하거나 가정을 직접 방문, 가정에서의 치매환자 간호법과 환자와의 상담기법 등 치매환자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중 28명에게는 이름·주소 등 인적 사항이 기재된 치매팔찌를 보급하는 한편 매달 일회용 기저귀와 지팡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혼자 살거나 보호자의 생활형편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자원봉사자나 공공근로요원 등을 배치해 간병하고 있다.
 여기에 자원봉사자들을 활용, 치매환자들의 이·미용 봉사를 실시하거나 생활환경이 어려운 환자들을 위해 도배 및 장판깔기 등 생활환경 개선에도 나서고 있는 것은 치매노인 문제를 단순한 질병관리의 관점에서 보기보다는 전체적인 삶의 질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잘 드러내고 있다.
 치매환자 문제는 고령자가 존엄을 유지하면서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사회적 해결방안이 모색돼야 할 사안이다. 치매환자로 인한 고통은 불특정 다수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지만 사회적 보호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특정 계층 이상 혹은 특정 수준 이상의 경제적 능력을 소유한 이들만이 그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군보건소와 같은 공적 치매환자 관리 프로그램이 더욱 확산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