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이 어쩌면 수도권으로 바뀔지도 모르겠다.행정수도를 충청권으로 이전하겠다던 노무현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기 때문이다.하지만 수도를 충청권으로 이전하기까지는 외국의 사례가 그렇듯 많은 난관이 기다릴것으로 보인다.말레이시아 마하티르 총리는 인구집중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95년 「푸트라자야」를 행정수도로 지정, 98년 총리실만 우선 이전했으나 행정기능 이전은 2005년이 돼야 끝날것으로 보인다.독일의 경우 통일후 수도이전 논쟁이 벌어졌으며 91년 연방의회에서 베를린을 새수도로 결정했다.하지만 수도를 서둘러 옮길 경우 본의 부동산값 폭락과 빌딩 공실률 증가등의 문제를 우려해 점진적으로 이전키로 결정했으며 현재 국방부등 6개 부처를 본에 남기고 10개 부처만 베를린으로 옮겼다.그러나 베를린에 근무하는 연방공무원은 8천400명이지만 본에 잔류한 공무원은 1만1천700명으로 더 많다.브라질은 55년 브라질리아 건설에 착수해 리우데자네이루에 있던 정부부처를 60년부터 이전했으며 호주는 1909년 캔버라를 후보지로 선정해 시드니에 있던 총리 관저를 27년부터 옮겼다.이들 나라들은 그나마 세월이 걸려도 수도를 이전했지만 일본은 아직도 답보상태다.수도권 과밀화 몸살을 앓고 있는 일본은 88년부터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있었으나 입법 제정에만 4년, 행정수도 이전 기본원칙에 합의하는데 3년이 걸렸으나 여전히 결말이 나지 않았다.우리나라도 벌써부터 수도이전문제가 이슈로 떠올랐다.해당 지자체에선 서로 유치하기 위해 경쟁에 돌입했으며 해당지역 땅값이 들썩이고 있다.어쨋든 수도권 주민이 되기위한 절차와 과정이 간단치는 않을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