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름지기 행정조직은 주민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만약 그 조직이 기형적이라면 과감히 외과 수술을 통해 환부를 도려내어 새 살을 돋게하는 것이 순서다. 증평출장소의 군 승격이 바로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증평주민의 오랜 숙원인 증평출장소 군 승격은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상임위에서 처리됨으로써 법사위를 거쳐 본회의 통과라는 요식절차만 남겨두게 됐다.
 13년 동안이나 묵은 행정적 체증이 확 뚫리는 듯 하다. 이번 일의 성사는 증평주민의 염원이 쌓여있는데다 국회 정우택 의원 등 우리고장 출신 의원들의 대승적 노력으로 이뤄낸 것이라 하겠다.
 또한가지는 시로서의 승격이라는 최선책을 접어두고 군 승격이라는 차선책을 선택한 것이 주효한 것이다. 인구가 시 승격으로서의 하한선인 5만명에 훨씬 미치지 않는 3만명으로서 당장 시 승격을 고집하는 것은 무리였기 때문이다.
 그동안 출장소 형태의 기이한 행정조직 속에 살아온 증평주민의 불편은 한 두가지가 아니었다. 주민들은 괴산군수, 도의원, 군의원을 선출하는데 참여하고 있으나 주민의 손으로 뽑은 군수가 증평출장소를 관할하지못할 뿐더러 군의원을 뽑아도 정작 증평을 대변하지 못하는 반쪽 자치단체였다.
 이제 충북도와 증평지역은 새로운 자치단체의 탄생을 앞두고 여기에 걸맞는 행정조직의 개편및 수용태세를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
 충북도로 보면 출장소 형태로 관할하던 증평 지역이 자치단체로 태어남으로써 행정적 업무전환이 불가피한 상태이고 해당지역인 증평은 새 자치단체로서의 위상정립을 위한 제반조치를 완벽히 갖출 일이다.
 우선 군 승격이 되면 단체장과 기초단체 의회를 구성해야 한다. 현행 선거법에 의하면 일정상의 이유로 단체장과 기초의원 선거를 따로 하게 돼 있다. 갓 태어날 증평군에서 단체장과 기초의원 선거를 따로 실시하면 경비도 많이 들고 업무적 공백이나 혼선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증평군의 효율적 착근을 위해서는 예외 규정을 두어 단체장 따로, 기초의원 따로 선거가 아닌 일정상의 통합 선거를 실시해야 마땅하다.
 벌써부터 단체장 선거를 앞두고 자천 타천 하마평이 무성하지만 출발 초기인 만큼 누가 어느 자리에 앉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 자치단체로서의 모양새를 갖추는데 있다.
 증평군의 출범은 그동안 행정의 미아로 방치돼 있던 행정의 사각지대를 바로 잡는 일이지 몇몇 인사의 자리 마련을 위해 취해진 조치는 아니다.
 증평 주민들은 이점을 십분 간파하여 '선 자치단체 위상 정립' '후 자치단체장및 의원 선거'라는 시대적 소명을 충실히 소화하고 이행해야 한다. 자치단체로 보면 후발주자이지만 선행주자의 범례를 수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늦깍이 자치단체로 부상할 증평군의 번영 여부는 오로지 내고장을 아름답게 가꾸고 자치단체로 손색이 없도록 하는 증평주민의 성숙된 의식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증평군으로서의 승격은 기쁜 일이지만 시험대에 서는 듯한 의무감도 솔찮게 작용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