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청원을 역사적, 지리적으로 보면 한 뿌리인데다 순치(脣齒)의 관계에 있고 심정적으로 보면 한 지붕 두가족의 형태를 띠고 있다.
 신라 신문왕 5년에 설치된 서원소경은 서원경을 거쳐 고려 태조 23년에 청주가 되었고 성종 2년에는 전국 12목(牧)중의 하나인 청주목(淸州牧)이 되었다.
 조선 선조때에는 2군9현을 관할하였다. 청주목은 청주·청원은 물론 회인과 괴산군의 일부를 포함하였다. 광복후 부제(府制)를 실시할 때에 청주와 청원이 분리된 것이다.
 이런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는 까닭에 두 지역민의 정서와 생활권이 같은 것이요, 이러한 동질성은 행정구역 분리와 관계없이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형적으로 보면 두 지역은 이(齒)와 입술의 관계에 놓여 있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린 법이요 이가 없으면 입술이 허전한 법이다. 이처럼 이웃하여 머리를 맞댄 두 지역은 서로 도우며 사는 공생의 공동 운명체인데 이따끔 파열음이 들리며 그 끈끈한 연대의 질긴 끈이 끊어지려 하는 통에 주위의 안타까움을 산다.
 특히나 환경문제는 행정관할과 달리 공통적으로 적용되는데도 두 지역이 손을 잡았다가 떼기를 반복하여 쓰레기 대란 등을 우려케 한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그동안 청주청원광역행정협의회를 가동하며 서로 협조체제를 다져왔는데 혐오시설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가까워졌다가도 또 멀어지는 동상이몽 현상을 빚기 일쑤다.
 비근한 예로 양 지자체는 청주권광역쓰레기 소각장을 오창과학단지내 설치키로 하고 부지확보와 더불어 주민들의 합의까지 도출해 냈으나 돌연 일이 꼬이고 있다.
 소각시설 부지 소유자인 JH개발이 부지 매각에 난색을 표명하는데다 청주시가 모색한 민간참여 공동사업방안을 청원군측서 당초계획대로 '청주시 직영'을 고수하며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청원군 청사 이전 문제도 뜨거운 감자다. 청주시 복판에 있는 청원군 청사가 협소한데다 청주목 동헌 건물인 청녕각(淸寧閣)이 있는 관계로 군정(郡政) 제반 업무를 원활하게 펼치지 못하고 있다.
 지방문화재인 청녕각의 보존은 시대적, 지역적 사명이고 그 주체는 두 말할 것도 없이 청주시의 몫이다. 청주목 역사의 이정표격인 이 일대를 청주시가 매입하여 사적공원화 하는 방안은 실로 오래전 부터 거론돼 왔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이 일대의 부지 매입·매각을 놓고 의견이 좁혀지는가 싶더니 답보상태에 이르자 청원군측서 군청사의 매입을 충북도에 요구하고 나섰다.
 월오동 화장장 건립사업도 청원군 낭성면 주민들의 반대로 난관에 부딪치고 있다. 역사적으로나 현재 생활상으로나 청주시와 청원군은 결코 돌아 누울 처지가 아니다.
 이런 문제들 때문에 청주·청원의 통합론은 더욱 설득력을 얻는다. 당장은 두 지자체가 분리되어 있는만큼 공생의 해법을 찾을 수 밖에 없다. '한 지붕 두 가족'의 정서가 '딴 지붕 딴 가족'이 되어 서로 눈을 흘겨서야 되겠는가. 누이좋고 매부좋은 관계가 유지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