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점검] 대청호 녹조 대책없나? 上. 녹조 근원지추동수역 발생 원인
구불구불 사행천 형태로 물 흐름 느려 취약 구조
조류경보 '관심' 단계 최대 91일 지속…빠른 유속 해결책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에 설치된 15개의 수중폭기가 가동되고 있다. / 윤여군

[중부매일 윤여군 기자] 중부권의 대표적인 식수원인 대청호에 올해도 어김없이 녹조가 발생해 지난 22일 옥천군 군북면 추동수역에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됐다.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일원은 지난 1998년 조류경보제를 시행한 이후 1999년과 2014년을 제외하고 매년 조류경보가 발령된 곳이다.

최근 3년 동안 7월 26일부터 8월 3일 사이 발령됐던 조류경보가 올해는 다소 늦었다.

2016년 대청호는 총 91일간 조류경보가 발령되었는데 올해는 장마철이 짧았고 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수온이 30도를 웃돌아 남조류가 번식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대청호 녹조의 근원지로 지목되고 있는 소옥천의 녹조원인과 대책에 대해 2회에 걸쳐 진단한다. / 편집자 주




금강유역환경청은 22일 오후 5시를 기해 대청호 추동 수역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금강유역환경청이 지난 20일 채수한 추동수역의 유해남조류 세포수는 ㎖당 6천852cells를 기록했다.

조류경보 '관심' 단계 발령기준(㎖당 1천cells)을 6배 가까이 초과한 것이다.

지난 13일 7천716cells 보다 낮아 졌지만 2주연속 발령기준 1천cells를 넘어섰다.

조류경보는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천 세포/mL 이상 1만 세포/mL 미만인 경우 발령한다.

추소리에 녹조가 발생해 대청호 물이 녹색을 띄고 있다. / 윤여군

이로써 대청호 상류인 충북 옥천군 군북면 소옥천유역 추동과 이미 관심단계가 발련된 청주시 문의, 보은군 회남지역을 포함해 대청호 전역이 조류경보가 발령된 셈이다.

이지역은 녹조로 인해 물빛이 연두색을 띠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녹조는 수온, 일조량, 체류시간, 영양염류(인, 질소)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대청호는 뱀이 구불구불 기어가는 듯한 사행천(蛇行川) 형태로 물 흐름이 느려(체류시간 162일), 녹조 발생에 취약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대청호는 저수면적 대비 유역면적이 44배(저수 72.8㎢, 유역 3천204㎢)이 넓어 비가 올 경우 가축분뇨, 양분(養分)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영양염류)이 다량 유입돼 녹조가 발생되는문제를 안고 있다.

조류경보제 지점 중 가장 상류에 위치한 회남지점의 경우 최대 10월 5일까지 총 64일간, 대청호 중간 만입부에 위치한 추동지점의 경우 10월 25일까지 총 84일간, 가장 하류에 위치한 문의지점의 경우 11월 1일까지 총 91일간 '관심' 단계가 지속되는 등 극심한 녹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추동지점으로 유입되는 소옥천은 대청호 상류 유입 하천 중 녹조가 가장 먼저 발생하고 총인부하량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 충북대 조사결과, 대청호 직유입 9개 하천 총인부하량(214.6㎏/일)의 72%가 소옥천에서 유입, 그 중 88%가 비점오염으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7월 초 집중강우 이후 9월까지 비가 적게 오면 집중강우시 유입된 오염물질이 호내 장기간 체류하면서 녹조를 확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2016년의 경우에도 7월 초(7.1~6) 집중강우(321.4mm, 대전)의 영향으로 영양염류가 유입·확산되어 7월 말부터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크게 증가, 8월 3일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됐다.

이 때문에 당시 총 91일간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대청호 조류발생 원인은 7월 초 집중강우 이후 폭염에 따른 수온상승, 8월이후 가뭄에 의한 체류시간 증가 등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충주호는 1998년 조류경보제를 시행한 이후 조류주의보 이상이 발령된 적이 없다.

강수량이 많은 관계로 방류량 증가로 인한 호안의 체류시간 감소로 인해 조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녹조는 강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대청호 녹조의 주범은 가뭄과 체류시간이다.

소옥천의 녹조는 구불구불한 하천구조에 따른 유속이 느려 체류시간 증가로 인해 녹조라떼 발생 원인이 되고 있다.

녹조예방에 대한 해결책은 유속을 빠르게해 녹조발생을 억제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