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산남지구 ‘원흥이 방죽’ 문제가 총선을 앞두고 지역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청주 환경운동연합 등 도내 4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원흥이 두꺼비마을 생태문화보전 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8일 원흥이 방죽에서 생태공원 조성을 요구하면 무기한 농성에 들어갔다.
 앞서 전날에는 토지공사가 원흥이 방죽 인근에 대한 벌목작업을 시작하면서 이의 저지를 둘러싸고 양측간에 물리적인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와 관련 청주 환경운동연합 한 관계자는 “충북의 총선환경연대를 구성하지 않는 대신 원흥이 방죽을 연계, 청주지역에서 낙선운동에 버금가는 활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의 이같은 언급은 원흥이 방죽을 올 총선과 연계, 생태공원 조성 목표를 관철시키겠다는 의도로 풀이되고 있다.
 우리는 도내 환경단체가 문장대·용화 온천지구와 무심천 생태공원화에서 거둔 ‘자기 희생적인’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지역 환경단체의 헌신적인 운동이 없었더라면 남한강 달천수계는 목욕오수가 콸콸 넘쳐나고 있을지 모르고, 또 무심천도 지금의 녹색공간을 확보하지 못했을 것이다.
 실제 모 환경단체의 홈페이지에는 “우리는 포크레인 삽날 밑에서도 문장대·용화을 지켜냈고, 무심천을 병들게 하는 포장공사를 막아냈다”는 글귀가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원흥이 방죽은 앞선 두 개의 예와 약간 다른 일면을 지니고 있다.
 우선 문장대·용화 온천지구의 경우 도계(道界) 바깥에 위치, 도민들의 ‘애도심’에 호소를 할 수 있었다. 또 무심천의 경우 이른바 ‘부딛히는 대상’이 사유지가 아닌 공유지였다.
 그러나 원흥이 방죽의 경우, 거슬러 올라가면 토지공사를 지나 그 끝에서는 사유재산 내지 사유지를 만나게 된다.
 따라서 이는 필연적으로 법적인 민감함과 부딛힐 수 밖에 없다. 벌써 이런 조짐은 나타나기 시작, 재입주를 기다리는 산남동 원주민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 주민들의 상당수는 토지보상을 받은 후 인근 수곡동에 임시거주(전세)를 하며 재입주를 기다리는 사람들이다. 어쩌면 산남지구 택지개발 사업에 ‘제 1의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이다.
 뿐만 아니라 낮은 보상가 때문에 또 다른 방향의 불만을 갖고 있는 일부 산남주민도 ‘자기 목소리’를 강화하는 등 원흥이 방죽은 벌써부터 ‘다자간 분쟁’으로 변질되고 있다.
 흔히 환경문제가 현안으로 부상할 때마다 뒤따르는 논리가 ‘개발과 보존’이다. 이는 동전의 양면과 같아 쉽게 선악을 판정할 수 없다.
 이번 원흥이 방죽 문제도 넓게 보면 이 범주에 속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이라는 시간의 단면으로 보면 양측 모두는 타당한 논리는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개발과 보존’ 논리의 충돌은 해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 격한 감정대립으로 치닫는 경우는 적지 않다.
 따라서 양측은 골이 더 깊어지기 전에 허심탄회하게 대화,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이른바 상생은 ‘너도 좋고 나도 좋은’, 즉 ‘윈-윈의 논리’다. 지금부터라도 대화를 하면 좁은 지역에서, 그것고 서로의 얼굴을 알고 지내는 처지에서 상생의 길을 못찾을 것이 없다.
 이 대목에서 한가지 덧붙인다면 너무 ‘자기적인 것’만 고집해서는 상생의 길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