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한우 사육농가들이 또 다시 울고 있다. 특히 그 원인이 정책, 제도 등 이른바 ‘외적인 것’에서 비롯되고 있어, 한우 사육농가의 가슴을 더욱 짓누르고 있다.
 청주축협 등 도내 축산기관에 따르면 도내 산지 한우값이 불과 2개월 사이에 20%나 떨어졌다. 올 2월 550만원(500㎏)를 안팎에서 출하되던 것이 지금(4월 하순)은 450만원 선에서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우리가 아는 축산상식은 대두(大頭)일수록 가격 사이클이 예각선을 그리지 않는다. 따라서 산지 한우가는 돼지나 육계 등과는 달리 비교적 완만한 가격 이동선을 보이는 것이 보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과 2개월 사이에 100만원 안팍인 20% 정도나 산지가격이 떨어졌다.
 이처럼 도내 한우 산지가격이 불과 2개월 사이에 폭락에 가깝게 떨어진 것은 소비부진과 블루셀라병 발병이 직접적인 원인인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한우의 산지 시세가는 수요·공급의 환경에 따라 오를 수도 있고, 또 내릴 수도 있을 것이다. 골이 있으면 마루가 있고, 또 마루 뒤에는 골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산지 한우가격이 폭락했는데 비해, 시장 소비자 가격은 전혀 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뒤집어 말하면 유통선상의 어느 집단인가가 폭리를 취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한우 사육농가가 울상이고, 도시 소비자들도 불만이면 이 물음은 뻔한 답을 지니고 있다. 바로 중간 유통업자들만 폭리를 취하고 있다.
 물론 중간 유통업자들의 횡포는 처음 거론되는 얘기는 아니다. 손을 대지 못할 정도로 고질화되어 있다. 그러나 정부나 축산당국 이 문제를 계속 방치·방관하는 것은 국내 축산 안전망 구성을 회피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따라서 다소의 무리가 따르더라도 산지가와 소비가가를 연동시키는 ‘한우가격 연동제’ 실시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유통업자들로 하여금 정확한 쇠고기 판매기록을 하도록 의무화해야 한다
 또 산지가격과 연동하여 등급별·부위별 소비자 권장가격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는 것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를 어길 경우 세무조사 등 강력한 제재가 뒤따라야 한다.
 지금 도시 소비자들은 그 값이 너무 비싸다보니 한우고기를 ‘귀족 식품’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는 한우가 저소비-저생산-저공급의 순환 사이클에 갖히면서 국내 한우기반이 붕괴되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한우고기의 투명한 유통체계의 확립이야말로 갈수록 어려워지는 수입 쇠고기와 힘겨루기를 해야 하는 도내 한우농가 입장으로서는 다른 어느 것보다도 절박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 참에 짚고 넘어갈 것이 또 하나있다. 우리 언론은 각종 축산질병에 대해 너무 과민적인 보도를 해오고 있다. 공익을 우선하는 언론 입장에서 보면 당연한 보도태도일 수 있다.
 그러나 광우병이나 블루셀라병 파동에서 보듯 그 결과는 ‘태산명동에 서일필’로 끝났다. 물론 방역당국이 철저한 대응을 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도내는 물론 전국 축산농가는 심대한 타격을 입었다. 이때 언론이 보인 태도는 소비촉진운동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한우 등 축산농가에서는 “실컷 두드릴 때는 언제이고…”라는 말이 다반사로 나오고 있다. 더 이상 이런 보도관행을 되풀이 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