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안성수 사회·경제부

31일 오후 충남 천안시 직산읍 대전침대 본사 앞 마당에서 관계자들이 방사성 물질 '라돈'이 검출돼 쌓여 있는 침대 매트리스 해체 작업을 하고 있다. 2018.07.31. / 뉴시스
31일 오후 충남 천안시 직산읍 대전침대 본사 앞 마당에서 관계자들이 방사성 물질 '라돈'이 검출돼 쌓여 있는 침대 매트리스 해체 작업을 하고 있다. 2018.07.31. / 뉴시스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 '라돈'에 대한 시민들의 공포심이 수개월 째 줄어들지 않고 있다. 지난주 라돈이 검출된 매트리스를 모두 수거·해체했다는 정부의 발표가 들리면서 라돈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다소 해소되는 듯 했다. 그러나 이 후 전국 곳곳에서 라돈 침대가 수거되지 않았다고 언론에서 보도했다. 여기에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생리대에서도 라돈이 검출됐다는 의혹이 일며 불안감은 꺼질 줄 모르고 있다.

발암물질 '라돈'이 수면위로 드러난 것은 대진침대에서 생산한 일부 침대 매트리스에서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되면서부터다. 이에 대진침대는 정부와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매트리스를 모두 수거하기로 결정했고 지난 26일 모든 수거와 해체를 마쳤다고 밝혀 일단락되는 듯 했다. 그러나 보도 직후 전국 시·도 10여 곳에서 라돈 침대를 수거해가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수거 신청을 한 한 가정의 매트리스가 5개월째 방 한켠에 방치돼 있던 것이다. 당국은 그제서야 수거를 계속 하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실제 라돈 생성의 90%는 토양에서 비롯됐다는 연구결과와 함께 전국에서 강원도, 충청도의 라돈 검출량이 가장 많다는 소식이 들리자 도민들의 불안감은 더 커졌다.

안성수 경제부 기자
안성수 사회·경제부 기자

특히 라돈가스를 배출하는 화강암 지반대에 위치한 충청권은 타 지역 대비 라돈 검출량이 높은 편이다. 교육부에서 조사한 지역별 라돈 검출 학교 수를 보면 강원도 140개로 가장 많았으며 충남 55개, 충북 36개가 뒤를 이었다. 이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 시민들이 스스로 라돈 검출기를 들고 예방에 나섰다. 각 시·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라돈 검출기 대여 서비스와 사설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와중에도 뚜렷한 대책을 내지 못하고 있다. 건축물이나 생활용품 등에 대한 라돈 발생 여부 파악이나 개선안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한 때이다. 언제까지 시민들에게 맡겨선 안될 일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