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백제기 거점 성 역할 입증

문화재 전문가들이 추성산성에서 발견된 한성 벡제기 목조우물을 조사하고 있다./증평군
문화재 전문가들이 추성산성에서 발견된 한성 벡제기 목조우물을 조사하고 있다./증평군

[중부매일 한기현 기자] 국가지정문화재인 증평군 추성산성에서 한성백제기 지역의 거점 성 역할을 입증하는 목조우물이 발견돼 학계가 주목하고 있다.

증평군은 문화재청의 국가보수 정비사업이 실시 중인 증평군 도안면 추성산성(국가지정문화재 사적 527호) 8차 발굴조사에서 한성백제기(기원전 18~기원후 475년) 목조우물을 발굴했다고 12일 밝혔다.

목조우물은 직경 100㎝, 깊이 80㎝ 크기로 판재를 서로 엇갈리게 잇대어 제작됐으며, 하부는 'ㅍ' 자, 상부는 '井'자 형상을 띠고 있다.

목조우물은 우물 바닥에서 출토된 백제 토기편을 분석한 결과 4세기경에 축조된 것으로 판명됐다.

특히 백제 중앙양식의 축조 방식을 반영해 추성산성이 한성백제기 지방의 거점 성(城)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우물과 인접한 곳에서는 고대산성에서 볼 수 없는 단야 공방과 관련된 수혈 주거지 1기, 매납 유구 1기, 수혈 유구 3기가 확인됐다.

증평군은 2009년부터 총 8차례의 발굴 조사를 통해 추성산성이 지방에 존재하는 가장 큰 규모의 한성백제 시기 토축산성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내성과 외성 등 이중 구조로 된 남성과 북성의 독특한 배치와 판축기법, 성토 다짐 등 축조 방식도 확인했다.

고려 때 만든 목책과 초소 터, 백제 때 무덤으로 추정되는 석곽묘 1기와 토광묘 3기, 한성백제기 산성 내 최대 규모의 주거지도 발굴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추성산성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14년 1월 23일 증평군에서는 처음으로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지정됐다.

키워드

#증평군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