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공급 차질·유통비 증가 피해 '현실화'

/연합뉴스
/연합뉴스

[중부매일 이완종 기자] 일본의 한국에 대한 백색국가 제외가 28일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충북도내 기업들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규제 피해사례 속출

28일 충북기업진흥원에 따르면 '일본 수출규제 피해센터'에 접수된 도내 기업 피해사례는 총 4건으로 집계됐다.

먼저 화장품 제조 A업체는 일본에 화장품을 수출 중에 있었으나 선적 물량에 대해 발주를 보류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회신을 받았다.

현재 A업체는 재고비용 증가로 유동자금이 부족해졌고 인건비 지급 및 타국 수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 의료용 초음파 감열지 생산 B업체는 일본쪽의 주요 원자재 공급업체가 공급 중단을 선언함에 따라 난항을 겪고 있다.

B업체는 최대 6개월분의 재고를 확보해 놓은 상황이지만 일본 측 공급 업체가 세계 시장의 97%를 점유하고 있어 향후 관계가 회복되지 않을 경우 원자재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여기에 반도체 소재 제조 C업체도 핵심 원재료인 특수 강판의 공급망에 문제가 발생됐다.

일본과 독일에 공급망을 형성해온 이 업체는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불안감 확산에 따라 단기적으로 발주량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가격보다 10~15% 상승하는 등 부담이 커졌다.

여기에 탄소섬유 가공 및 제조 D업체 역시 주요 원자재인 탄소섬유를 100% 일본 수입에 의존해왔지만 직수입이 어려워지면서 제3국쪽 공급망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공급도 미지수고 수입가격 및 유통비 증가가 예상되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가하락 우려, 시행전 재고량 확보로 피해신고 보류

이 처럼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여전히 피해신고 건수는 미미한 수준이다. 여기에는 도내 상장기업들 사이에서 '주가하락'을 우려해 신고를 보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 수출규제 피해센터는 충북도, 충북지방벤처기업청, 충북기업진흥원, 충북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 11개 시·군에서 설치·운영하고 있다.

앞서 도는 지난달부터 도내 2천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일본산 원재료 의존현황을 조사했다. 이중 140업체를 대상으로 심층조사를 진행해 67개의 영향우려기업을 지정하고 특별 관리중이다.

그러나 도내 피해신고건수는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적다.

지역의 한 반도체 관련 기업 관계자는 "수출규제로 실질적 피해가 예상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수출·입 루트를 재검토 하는 등 자체적인 해결을 우선시 하고 있다"라며 "혹여나 피해사례로 공개될 경우 주가하락 등을 우려해 지원요청에는 소극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한·일 양국간의 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피해를 우려한 기업들이 최근 수개월치 재고량을 확보해 둔 점도 피해신고를 당장 하지 않고 있는 이유로 손꼽고 있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미리 재고량 확보에 나서면서 당장은 생산에 문제가 없다"며 "다만 양국관의 관계 악화가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해 원재료를 미리 구입하기위한 자금 지원요청 문의에 대해서는 고민중"이라고 토로했다.

 

◆향후 불확실성 증폭.."수출·입선 다변화 국산화 추진해야"

이에 따라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선 향후 일본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충북도내 향후 경제 불확실설도 증폭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여기에는 충북의 경우 제조업 중심으로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의 성장 기여율이 42.7%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영훈 충북연구원 연구위원은 28일 충북연구원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 대응 전략 모색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에서 "충북경제가 제조업 중심의 성장구조를 가지고 있고(제조업 부가가치 성장기여율은 63.6%에 달함), 특히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의 성장기여율은 42.7%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은 비중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설 박사는 "일본 수출규제가 주는 충북 산업에 대한 영향을 분석을 위해 충북의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매출이 1% 감소한다고 가정할 경우 매출이 1% 감소하면 충북의 GRDP는 약 721억 3천만원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며 "이는 지난 2017년 명목 GRDP의 0.12%에 달하는 금액"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응방안으로 지역내 및 산업 간 부품수급의 생태계 활성화, 현재와 같은 글로벌 가치사슬의 붕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입 및 수출선 다변화와 경제체질의 근본적 개선, 부품 국산화 추진해야한다"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