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공공기관을 혁신도시(지구)로 집단 이전한다는 충북도의 발표 이후 일선 자치단체가 사활을 걸고 유치경쟁에 나서고 있다.

정부와 충북도의 발표에 앞서 제천지역에서는 지난해 7월 의림포럼 및 시민,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일찌감치 ‘제천시 공공기관유치 대책위원회 ’를 결성하고 “공공기관의 유치를 통한 혁신도시 제천건설 ”을 부르짖었다.

또한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1만명 거리서명 운동을 전개하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건교부에 전달했다.

이후 공대위는 ‘ 공공기관 이전 대상에서 충북을 배제한다 ’는 정부방침을 철회하는데 앞장서는 한편 신단양개발위원회와 영월군번영회, 평창군번영회와 중부내륙 4개시군 공동발전 민간협의회도 구성하고 혁신도시 제천건설 지지에 상호 협조하기로 했다.

이같이 제천지역의 수많은 시민, 사회단체가 혁신도시 제천유치를 줄기차게 주장하는 이유는 그동안 호황을 누렸던 시멘트 산업이 사양길에 접어든데다, 제조업 비중 역시 취약해 해마다 인구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며칠전에는 중국산 시멘트가 국내로 대거 반입되면서 제천시와 단양군 경계지역에 있는 한 시멘트 공장이 9월말까지 한시적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바람에 제천지역 상인들은 벌써부터 걱정이 태산이다.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인해 청풍면을 중심으로 조상대대로 살아오던 1만9천여명의 농민들이 문전옥답을 빼앗긴 채 타 지역으로 내몰린데다, 전체수몰 면적의 64%가 청풍호에 잠긴 것도 지역경제 침체 원인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부 제천시민들은 “ 이렇게 충북에서 홀대받느니 차라리 강원도로 편입되는 편이 낫겠다 ”고 북부권 홀대론을 주장한 적도 있다.

하지만 제천시민과 기업인들은 결코 좌절하지 않는다.

지난 13일 제천지역의 150개 기관 및 시민, 사회단체 대표 150 여명으로 구성된 ‘ 제천시 공공기관 혁신도시 건설대책위원회 ’가 공식 출범하며 “혁신도시 제천유치를 위해 사생결단의 각오로 나설 것 ”이라 결의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10월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충북지역혁신발전 5개년계획 토론회에서 혁신도시 유치를 건의했으며, 충북도 장기종합개발계획에 의한 참단산업밸트 육성에 제천시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

경제적 효율성을 보더라도 제천지역은 태백권의 관문이며 동일 생활권 인구가 100만명에 달하며, 혁신도시가 건설될 경우 지가가 낮아 토지매입 및 투자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제천바이오밸리(BT산업), 세명대학교(한의학연구소, IT, 친환경디자인센터)와 더불어 제천에 혁신도시가 들어서면 명실공히 공공기관의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지식기반형 기업도시로 지정된 충주와 원주시의 R&D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한국가스안전공사를 위시해 정보통신, 인력개발 관련 공공기관은 매우 큰 역할을 할 것이며, 더불어 제천에 혁신도시가 건설된다면 명실공히 연기, 공주의 행정도시에 버금가는 중부 내륙권의 새로운 행정타운으로 부각되리라 믿는다.

특히 2014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지원 배후도시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제천지역 기업인의 일원으로 혁신도시가 제천에 건설돼야 만 낙후된 충북 북부지역 경쟁력 강화와 국가균형발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제천시 기업인협의회장 지중현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