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복·미래 예지능력·둔갑술 능하고 다산의 상징 동물

무를 갉아먹는 쥐 (어해화사도권축세부) 김인관 작 조선중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무를 갉아먹는 쥐 (어해화사도권축세부) 김인관 작 조선중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부매일 이지효 기자] 2020년은 '경자(庚子)'년 쥐띠 해다. 쥐는 십이지 중 가장 먼저 오는 동물이다. 올해 '경자(庚子)'년의 경(庚)은 십간(十干)의 일곱 번째로 방위로 서쪽, 오방색으로 흰색에 해당된다. 자(子)는 십이지의 첫 자리로, 방위로 정북(正北)을, 달로 음력 11월을, 시간으로는 오후 11시부터 오전 1시까지를 말한다. 색깔로 이야기한다면 경(庚)이 오방색으로 흰색에 해당되니 경자년은 '흰 쥐띠'해이다. 쥐의 해에 태어난 사람은 식복(食福)과 함께 좋은 운명을 타고났다고 한다. 쥐가 우리 생활에 끼치는 해는 크지만 위험을 미리 감지하는 본능이 있고, 어려운 여건에서도 살아남는 근면한 동물이다. 또한 재물, 다산, 풍요기원의 상징으로 나타나며 은밀성, 조심성, 예민성, 왜소성, 다산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 역사속 다양한 문화적 표상

집 모양 토기가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 여러 차례 출토됐는데, 그 중 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창고형 고상 가옥에 쥐와 고양이가 장식돼 있다. 곡식 창고에 올라오는 쥐 두 마리를 노려보고 있는 고양이의 모습으로 보아, 예나 지금이나 곡식 창고나 뒤주의 주인은 쥐였나 보다. 그리고 그 쥐를 잡는 것 역시 고양이였던 같다.

통일신라 이후 쥐는 십이지의 하나로 능묘, 탑상, 불구, 생활용품 등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신라 진덕왕릉 주위에 부조된 십이지는 엄숙한 의례용 갑옷에 천의를 입고 있는데, 그중 정북방을 담당하는 자상(子像)은 다른 십이지에 비해 단아한 형태의 갑옷과 부드러운 천의를 입고 있다. 또한 흥덕왕릉의 십이지에서는 자상만이 유일하게 천의를 입고 있다. 고려시대 이후에는 무덤 현실 내부에 벽화로 그려진다. 개풍군 수락암동의 석실 고분벽화에 그려진 십이지 신상은 문관의 복색을 하고 있고, 그 관모 위에 쥐가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파주 석곡리 고려 벽화 묘에도 십이지 신상을 네 벽에 그려 넣어 무덤을 수호하게 했다. 고분 문으로 들어가자마자 맞은편(북벽)에 인물상이 있고, 그 인물상 관모 위에 쥐의 머리 부분이 그려져 있다.

# 화폭에 담긴 쥐

쥐-신사임당 작 초충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쥐-신사임당 작 초충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에 그림 중에 쥐의 생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에 제법 있다. 쥐 그림은 들에서 수박이나 홍당무를 갉아먹고 있는 모습 등 재미있는 주제의 포착과 서정 넘치는 표현, 아름다움 색채감각이 돋보이도록 그렸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수박과 쥐그림'이 대표적이다. 쥐 두 마리가 수박의 빨간 속살과 그 앞에서 씨앗을 먹고 있는 쥐 한 쌍, 나비 등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겸재 정선(謙霽 鄭敾)은 서투서과(鼠偸西瓜)에서 쥐가 수박을 갉아먹고 있고, 심사정(沈師正)이 초충도첩(草蟲圖帖)에는 쥐가 당근을 먹고 있다. 최북(崔北, 1720년경)의 그림도 심사정의 그림과 유사하다, 쥐의 생태와 습성을 사실적으로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수박은 씨가 많다. 씨가 많다는 것은 다산과 풍요를, 여기에 더해 한 쌍의 쥐는 부부 사랑과 다산, 풍요를 의미한다.

# 쥐는 다산왕

쥐 부적(符籍) 1940~1960년대쥐날 붙여서 풍요를 기원하는 부적으로, 쥐를 의미하는 한자인 '서(鼠)'자를 그려 만든다. /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쥐 부적(符籍) 1940~1960년대쥐날 붙여서 풍요를 기원하는 부적으로, 쥐를 의미하는 한자인 '서(鼠)'자를 그려 만든다. /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고구려에 추남이라는 용한 점쟁이가 있었다. 어느 날 그는 왕비가 음양의 도를 거슬러 그 징후가 나타날 거라는 점괘를 냈다. 왕과 왕비가 크게 노했고, 상자 속에 들어 있는 쥐의 수를 정확히 맞히면 살 것이나 그렇지 못하면 죽음을 면치 못할 거라고 했다. 추남은 여덟 마리가 들어 있다고 답했지만 상자 속에는 한 마리만 있었다. 그는 죽으면서 반드시 신라의 장군으로 태어나 고구려를 멸하겠다고 맹세했다. 왕은 기이한 생각이 들어 쥐의 배를 갈라보게 했는데, 뱃 속에는 일곱 마리의 새끼가 있었다. 그제야 점괘가 맞는다는 걸 알았지만 추남은 이미 죽은 후였다. 추남이 죽던 밤 고구려왕은 신라 서현공(김유신의 아버지) 부인의 품 속으로 들어가는 꿈을 꾸었다. 왕은 후환을 없애기 위해 백석을 보내 김유신을 고구려로 유인해 죽이려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이런 이야기 가능한 것은 왕성한 쥐의 번식력 때문이다. 쥐는 생태적으로 언제나 임신이 가능해 새끼를 배고 있다. 즉, 언제나 임신이 가능해 실제 수를 맞히기가 어렵고, 그것은 결국 다산의 상징으로 통했다.

# 미래 예언하는 영물

'삼국사기' 신라본기 권제9 혜공왕 5년조에 보면 "치악현에서 8천여 마리나 됨직한 쥐 떼가 이동하는 이변이 있고 그 해 눈이 내리지 않는다"라는 글이 있다. 쥐는 자연의 이변이나 닥쳐올 위험을 예감하는 능격이 뛰어나고 알려져 있다. '쥐가 배에서 내리면 폭풍우가 온다'는 속담이나 '쥐가 없는 배는 타지 않는다'는 속담에서도 쥐의 이런 신통한 능력을 얘기하고 있다. 17세기에 대서양을 횡단하던 배에서 수천 마리의 쥐 떼가 부두로 내려왔다고 한다. 선장은 배에서 쥐에게 시달리지 않아도 돼 좋아했지만, 그 배는 이틀 뒤에 바다에서 폭풍을 만나 가라앉았다. 폭풍우를 미리 알고 쥐가 배에서 빠져나온 것이다. 폭풍우 외에도 집의 붕괴를 예견한 설화도 있다. 옛날 어느 부잣집에 쥐가 아주 많았다. 하인들은 쥐을 잡으려고 사방에 덫을 놓았다. 주인은 살려고 태어난 짐승을 함부로 죽일 수 없다며 쥐덫을 모두 치우게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수백 마리의 쥐가 서로 꼬리를 물고 집 밖으로 나갔고, 사람들 또는 그것을 보기 위해 집 밖을 나왔다. 그 순간 갑자기 집이 폭삭 무너졌다. 결국 쥐가 사람을 살린 것이다.

# 구석구석 세상의 정보통
 

쥐는 정보화(IT)시대의 안성마춤의 캘릭터이다. 함경도 지방의 창세가에 보면 불과 물의 근원을 알려준 생쥐 이야기가 나온다. 아주 옛날 세상이 만들어질 때 미륵이 태어나 해와 달을 이용해 별을 만들고 자신의 옷을 만들었다. 대단한 능력을 가졌지만 물과 불의 근원을 알지 못해 날곡식을 먹어야 했던 미륵은 풀메뚜기에게 물과 물의 근원을 묻는다. 풀메뚜기는 풀개구리를 추천했고, 풀개구리는 생쥐가 알 거라고 일러 주었다. 생쥐가 물과 불의 근원을 미륵에게 알려주는 대가로 세상의 모든 뒤주를 차지하게 됐다. 옛 이야기 속에서 쥐는 남들이 미처 알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는 존재로 나온다. 그건 집안의 곳곳을 돌아다니기 때문에 집안 사정이나 집안의 보물이 어디 있는지를 완전히 꿰뚫어 알고 있을 거라는 사람들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다. 몸집은 작지만 어느 곳이나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많은 정보를 알고 있는 조그만 정보체로 여겼던 조상들의 쥐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다.

# 둔갑술의 천재

십이지신도-자신, 1977 만봉 이치호(萬奉 李致虎, 1910~2006) 작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쥐 신장(神將)으로, 반인반수(半人半獸) 모습이다. 십이지신도는 절에서 큰 행사를 할 때 해당 방위에 걸어 잡귀를 막는 역할을 한다.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십이지신도-자신, 1977 만봉 이치호(萬奉 李致虎, 1910~2006) 작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쥐 신장(神將)으로, 반인반수(半人半獸) 모습이다. 십이지신도는 절에서 큰 행사를 할 때 해당 방위에 걸어 잡귀를 막는 역할을 한다.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한국 설화에서 변신과 둔갑을 자유자재로 하는 쥐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처녀 때 손톱과 발톱을 함부로 버려서 쥐가 그것을 먹고 결혼 후에 가짜 신랑으로 변신해 진짜 신랑을 쫓아냈다는 이야기도 있고, 어느 선비가 손톱, 발톱을 깎아서 버린 것을 쥐가 먹고 그 선비로 변해 한바탕 소통이 나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쥐는 집 안 곳곳을 다니기 때문에 가짜 주인으로 변신한 후에도 조금의 허점 없이 진짜 흉내를 낼 수 있다. 이것은 쥐의 특성인 재빠름, 은밀성을 반영하고 있다. 쥐는 고양이와 큰 사물·동물들과 대비시켜 약자로, 쥐구멍·쥐꼬리로 표현되는 왜소로, 남의 것을 훔쳐먹는 도둑으로, 작고 재빨라 약삭빠른 것 등으로 표현됐다.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지낸 천진기 국립전주박물관장은 "쥐띠 해는 풍요와 희망, 기회의 해"라며 "쥐는 백해무익(百害無益)한 동물로 생각하지만 한 가지 쓸모가 있다면 의약(醫藥)의 실험동물로서의 공헌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람의 입장에서 본 것일 뿐, 자연계의 일원으로서의 쥐는 나름대로 그 존재 의의가 자못 크다"고 밝혔다.

쥐에 관한 생태와 상징, 문화상을 더 살펴보고 싶다면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윤성용)에서 오는 3월 1일까지 열리는 기획전시 '쥐구멍에 볕 든 날'을 관람해 보는 것도 권유한다. 유물과 영상 등 60여점의 자료를 바탕으로 쥐의 상징과 의미, 그 변화상을 살펴볼 수 있다.

1960년 경자생 연예인

배우 : 왕룡, 임예진, 전광렬, 이미숙, 원미경, 정애리, 송옥숙, 정명환, 천호진, 이일재, 이휘향, 강신일, 최란, 이경영, 차화연, 김형일

가수 : 최성수, 방미, 김범룡

개그맨 : 이원승, 이재포, 김명덕, 이상운

방송인 : 김승현,이경규

키워드

#경자년 #쥐띠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