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문학평론가

대전 3·8민주의거는 1960년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자유당 독재정권의 부정과 부패, 불법적 인권유린에 대항해 대전지역 고등학생들이 민주와 자유, 정의를 위한 순수한 열정으로 불의에 항거한 민주화 운동이다.

당시 3월 8일 대전시 공설운동장에서 개최되는 야당 부통령후보인 장면 박사의 선거연설회와 때를 맞추어 경찰의 저지망을 뚫고 대전고등학교 1천여 명의 학생이 독재타도와 학원의 자유를 외치며 시민들의 환호 속에 격렬하게 시위를 전개한 것이다.

본래 대전시내 고교생들이 연대해 시위에 참가하기로 했지만 사전 발각돼 경찰의 극심한 저지를 받는 가운데 보문고등학교는 3월 9일부터, 대전공업고등학교는 3월 10일부터의 학기말시험(당시는 4월에 새 학기 시작)으로 시위를 봉쇄했으며 9일 저녁에는 또 경찰에서 4개 학교 학생대표 24여명을 연행 구속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월 10일에는 다시 대전 상업고등학교 학생 600여명이 자유당의 그릇된 정부통령 선거 전략을 규탄하고 구속학생 석방을 요구하며 학원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한 열렬한 시위를 감행했다.

대전 3·8민주의거 과정에서 수많은 학생이 총개머리판과 방망이로 얻어맞았고, 교복·교모·신발·소지품 등 잃어버린 물건이 수없이 많았으며, 논바닥에 가두어 놓은 인분통에 빠지고 넘어져 곤경에 처하거나 다친 경우도 허다했다. 급기야는 100여명의 학생이 연행 구속돼 고초를 당했다.

한 달 이상을 피신하며 산 학도호국단 간부들도 있었고, 부상으로 오래 동안 병원신세를 지는 학생도 많았다. 특히 두 명의 교사(대전고 조남호, 금종철)가 수갑을 차고 곤봉세례를 받으며 경찰서에 연행되는 애끓는 장면이 있었는가 하면 경찰 방망이로 맞아 고막이 터지고 평생 불구의 몸으로 살아가는 그렇게 처절한 인생(대전고 송병준)도 있다.

대전 3·8민주의거는 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이며 지역민주화운동의 효시로 역사적 교훈과 가치가 매우 커서 2·28대구민주화운동, 마산3·15의거 뒤를 이어 2018년 11월 2일 국가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그리하여 지난 2019년에 처음으로 국가 행사로 거행된 3·8민주의거 제59주년 기념행사는 대전시청 남문광장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3·8민주의거 유공자, 일반시민, 학생 등 약 1천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한편 3·8민주기념사업회 공동의장인 김용재 시인이 관련 자료집 11권을 발간해 3·8민주의거 역사 정립에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대전교육청에서는 제59주년을 계기로 3·8민주의거의 역사적 교훈과 가치를 학생들에게 내면화하기 위해 각 학교 별로 교과수업과 계기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우리 지역의 숭고한 민주주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장소를 탐방하는 체험형 프로그램 '민주시민의 길'을 계획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3·8민주의거 제60주년 각종 기념행사가 취소되거나 무기 연기되어 3·8민주의거 정신인 자유·민주·정의·평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 데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시인·문학평론가
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시인·문학평론가

앞으로 3·8정신을 대전·세종·충남 정신문화운동으로 승화시켜 지역사회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우선 먼저 최대의 역점 사업인 3·8의거기념관을 건립하고, 희생된 애국 시민들을 국가유공자로 예우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연간 발행하는 '3·8민주의거'를 계간으로 발행하고,'3·8민주의거 60년사'를 발간하는가 하면, 60주년기념사진전을 개최하고 사진첩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3·8명예도로명제정 선포식, 3·8민주의거 진원지표지석 제막식, 3·8의거둔지미공원 조형물 제작, 백일장, 시 낭송회, 심포지엄 등 각종 기념사업을 차질 없이 적극 추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