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19 여파로 문화 행사 등이 취소되면서 도산 위기에 처한 (사)한국이벤트 충북지회 회원들이 23일 충북도청 서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 문화예술·이벤트업계 붕괴에 대한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 김용수

올 초부터 시작돼 상반기를 넘기는데도 좀처럼 기세가 꺾이지 않는 코로나19로 인해 지역의 모든 분야가 심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 무엇보다 경제적 피해가 큰데 지금까지 충북의 집계 금액만 5천500억원이 넘는다. 일시휴직자 급증 등 실업대란은 이미 진행중으로 최근 다소 둔화됐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확산되는 양상이다. 최악의 상황에 몰렸던 영세자영업자·소상공인 등은 다양한 지원책 덕분에 버티고 있다. 다른 분야도 긴급재난지원금 등 정책적 지원의 덕을 보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곳도 있다.

무차별적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코로나19의 특성에 따라 접촉차단·거리두기가 방역의 화두가 되면서 행사·이벤트 업계는 그야말로 모든 게 멈춰버렸다. 특히 매년 봄을 맞아 곳곳에서 펼쳐지던 지자체 축제는 물론 각종 단체·모임의 상시 행사도 취소됐다. 중단하기 어려운 일부 행사 등은 일정을 연기하며 시간을 갖고 코로나의 추이를 지켜보기로 했지만 지금의 상황은 이마저도 허사가 됐다. 여름철 2차 유행에 이어 가을·겨울 추가유행 가능성이 점쳐진다. 백신개발 등 해결책은 아직 요원하기만 하다.

이런 가운데 터진 대전발 소규모 집단감염이 충청권을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 봄철 대유행 이후에도 끊이지 않았던 집단감염이 그동안은 수도권에 국한됐으나 이제는 지역의 경계가 무의미해진 셈이다. 이로 인해 혹시나 하며 일정을 미루고, 조정했던 행사들마저 모두 취소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아예 올 행사는 씨가 마를 지경이다. 빈손으로 반년 가까이 버텼는데도 앞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직원들을 내보내고 자신도 다른 일을 하며 근근히 버텨왔던 이들마저 이제 두손두발 다 들어야 할 처지다.

이처럼 지역의 행사·이벤트업계가 붕괴될 지경에 처했지만 이들은 여전히 고립무원이다. 어떤 도움의 손길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른 업종에 대한 지원방안이 논의되는 중에도 이들은 제외됐다. 심지어 산업분류가 안돼 중소기업 긴급대출에서도 빠졌다. 하반기를 보며, 시간을 갖고 기다렸지만 이제 더 버틸 여력이 없다. 급기야 관계자들이 모여 집회를 열고 지원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밀집·밀접·밀폐를 벗어난 공연개최와 고용유지 등을 요구했다. 업체와 업계가 존속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하소연이다.

업계에 따르면 충북의 축제 및 행사관련 산업규모는 관공서 960억원 등 연 1천200억원 정도다. 관련 업체 700여곳에 직원 등 관계자는 1만여명에 달한다. 이같은 규모가 무일푼으로 지금껏 버틴 것이 용하다. 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까닭이다. 주민들의 문화적 치유 차원에서 방역지침을 준수하는 선에서 행사 개최도 고려할 만 하다. 아니면 내년 개최 사전계약과 선금 지급도 있다. 이것이 어렵다면 직원급여 등 고용지원이라도 해야 한다. 이제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