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19로 인해 안전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도 높은 가운데 폭력에 노출된 채로 사회적 안전의 최일선에 서 있는 이들이 있다. 개인적 안전보다는 우리 사회의 안전을 위해 오늘도 위험을 감수하고 있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이다. 이들 중에서도 도움이 필요한 국민을 사회적 안전망으로 감싸는 일을 하는 사회복지공무원들의 노고는 적지않다. 모든 국민의 기초생활을 보장하며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이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폭력이 빈발하는 환경속에서 업무에 매진하고 있다.

청주복지재단이 올 봄부터 실시한 실태조사는 폭력에 노출된 사회복지 근무현장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준다. 민원인으로부터 언어·신체 폭력을 경험한 비율이 83%에 이른다. 응답자 절반 이상이 우울·불면·불안 등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겪었고 심지어 '자살을 생각했다'는 이가 26%나 됐다. 일선에서 일하는 사회복지공무원들의 실태인 만큼 업무현장이 얼마나 위태로운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에대해 업무조정 등 적극적인 조치가 취해진 경우는 10%에 불과했다. 한마디로 폭력 피해를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이들을 위한 특약보험에 대해 기관의 90%가량이 모르고 있고,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메뉴얼을 비치·관리하는 곳은 20%도 안된다. 폭력에 직접적이고 광범위하게 노출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가 시급한 것이다. 게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위협받는 사회 안전망의 한 축이라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보호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책임져야 한다. 가족의 입지가 갈수록 좁아지는 현대사회에서 고립되기 쉬운 소외계층을 향한 돌봄마저 무너진다면 사회적 부담과 비용은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감염 차단을 위해 거리두기, 격리가 일상이 된 상황에서 상대를 껴안아야 하는 이들은 사회를 유지시키는 필수인력이다. 평소에도 소외받기 일쑤인 노인·장애인 등 이른바 취약계층에게 감염병 사태는 치명적일 수 밖에 없다. 가보지 않은 길에서 우리는 수많은 허점을 드러냈다. 여전히 돌봄이 필요하지만 방역 최우선에 말려 취약계층에 대한 도움의 손길은 더 멀어졌다. 그 공백을 오롯이 채운 것이 사회복지 종사자들이다. 그런 까닭에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이들이 새롭게 조명됐고, 이들의 역할이 더 뚜렷해졌다.

오는 9월7일은 지난 1999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처음 공포된,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련 종사자들을 장려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날이다. 이날을 앞두고 드러난 사회복지공무원 근무현장 실태는 이들의 안전과 처우에 대한 고민을 안겨준다. 급여는 물론 휴가를 비롯한 복지, 노동환경 등 개선돼야 할 것들이 부지기수다. 무엇보다 매를 맞아가면서 일하는 환경만큼은 하루라도 빨리 고쳐져야 한다. 내일을 위한 모두의 안전은 거저 이뤄지지 않는다. 손이 필요할 때 팔을 걷고 나서야 지킬 수 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