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해 개정된 교육공무원법에 따라 교원과 직원, 학생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로 총장선거를 치러야 하는 국립대 구성원들이 투표 참여비율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충북도내 대학 가운데 한국교통대는 전임 총장의 임기가 끝난지 1개월이 지났지만 구성원들의 투표 참여비율 합의 불발로 차기 총장선거를 치르지 못해 교무처장이 총장 직무대리를 맡고 있다.

다음달 22일 총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충북대학교도 아직까지 투표 참여비율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교통대는 총장선거 투표 참여비율 합의를 위해 교수와 직원, 학생 세 주체가 특별합의체를 구성하고 그동안 10여 차례 만나 협상을 벌여왔다.

하지만 최근 직원단체와 총학생회가 교수회를 배제한 채 투표 참여비율을 정해 합의하고 이를 외부에 발표하자 교수회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교수회는 직원단체 대표 교체를 요구하고 나섰고 직원단체는 교수회의 방침에 반발해 1인 시위까지 벌이고 있다.

양측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이러다가는 올해 안에 총장 선거를 치르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충북대 차기 총장 선거 문제도 녹록지 않다.

이 대학 교수회는 차기 총장 임용 후보자 선출을 위한 투표 참여비율을 정해 직원단체와 총학생회에 제안했지만 서로간 의견 차이가 커 지난 11일 투표 참여비율 확정을 위해 열린 7차 회의도 결렬됐다.

현 총장의 임기 만료 전까지 새 총장을 뽑지 못하면 충북대 역시 총장 직무대리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국립대 총장 선거를 놓고 벌어지는 이같은 일련의 사태들은 이미 충분히 예견됐던 일이다.

대학 내 주도권 싸움이 치열한 구성원들에게 스스로 투표 참여비율을 결정하라는 건 무리수다.

국립대 관계자들은 "교육부가 골치 아픈 총장선거를 해당 대학에 던져놓고 내부에서 구성원들끼리 알아서 처리하라는 식"이라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오죽하면 교육공무원법을 재개정해야 한다는 불멘소리까지 나오고있다.

가장 큰 문제는 총장 선거 지연이 대학 발전에 큰 악재로 작용된다는 점이다.

이번으로 세차례나 총장 직무대리 체제를 맞게된 교통대는 총장 부재 상황이 대학에 얼마나 큰 악영향을 미치는지 뼈저리게 경험했다.

대학의 운명에 가장 민감한 사람들은 바로 대학 구성원들이다.

그들은 지금같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어떤 결과가 초래되는지 잘 알고있다.

그런데도 그에 대한 걱정보다는 주도권 선점을 위한 숫자싸움에만 골몰하고 있다.

개정된 교육공무원법에는 총장 임기가 끝난 뒤 3개월 이내에 대학에서 총장 후보자를 추천하지 못할 경우, 교육부장관 제청으로 대통령이 해당 대학의 총장을 임명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다.

대학 내부에서는 "이러다 대학에도 검사 출신 총장이 임명되는 것 아니냐"는 자조 섞인 얘기까지 흘러 나오고 있다.

두 대학의 구성원들은 전향적인 자세로 시급히 머리를 맞대야 한다.

누구보다 그들 스스로를 위한 선택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