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로 경쟁률이 대체로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2023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결과를 두고 한 대학 관계자가 분석한 말이다.

실제로 이번 수시모집 결과 서울 주요 대학 경쟁률은 상승했지만 지역 소재 대학 경쟁률은 대부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대학이 그렇겠지만 충북대를 포함한 다른 국립대들도 1차에 모두 충원이 되지 않아 추가로 계속 신입생을 모집해야 한다.

학령인구 감소로 존폐위기에 몰린 충청권 대학들이 입학정원을 대폭 줄이는 방향을 선택했다.

충청권에서는 총 23개 대학이 2025년까지 4천 여명을 줄이게 된다.

교육부는 올해 대학·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에서 대학의 자율적인 정원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적정규모화 지원금 1천4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가 재정지원으로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지방대 몰락을 막기 위해 선제적 구조조정을 한다고 하지만 정원 감축의 75%가 그동안 지방대에서 이뤄져 온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 5년간 5만6천800여명을 감축할 예정인데 서울은 9개 대학이 참여하고 365명만 줄어들고 나머지는 다 지방대에서 감축하게 된다.

취업률, 대학원 진학률, 교수 충원율 등 각종 평가 기준이 서울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지방에 불리한 일률적 평가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충북에서는 충북대, 청주대, 세명대, 한국교통대 4곳이 교육부의 적정화 계획에 동참한다.

세명대 217명, 충북대는 2명을 감축할 예정이다. 충청권에서는 약 4천 여명을 줄이기로 했는데 충북은 지리적 여건상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이기는 하다.

서울에 있는 대학들이 정원을 줄인다면 지방대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서울 수도권을 증원하지 말고 지방에 더 혜택을 주라고는 하지만 생활 패턴과 선호도를 보면 젊은층이 서울 수도권을 좋아할 수밖에 없다. 서울 수도권에는 일자리, 볼거리, 놀거리, 산업구조에 있어서 최첨단 IT 단지가 자리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젊은층의 라이프 스타일을 감안할 때 지방이 더 혜택을 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울의 경쟁률이 더 올라가게 되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지방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관건일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제반 여건이 중요한데, 외국의 경우처럼 기업 소속의 대학을 만들어 사람들이 모이고 정주여건을 강화하게 만들어야 한다. 또한 지역의 폐교 속출을 예고하는 가운데 이를 막기 위해 지역주민들이 이용 가능한 평생 교육원 개념의 교육 프로그램 등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 학교의 시설들을 잘 활용해 커뮤니티 공간이나 각종 R&D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지금부터 준비하지 않으면 지방대 위기는 곧 현실로 다가올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