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노근호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0년 기준 중소기업 기본통계'(2022.7)에 따르면 전체 기업의 99.9%가 중소기업이다. 또한 종사자 수의 81.3%, 매출액의 47.2%를 차지한다. 충북의 경우, 2019년 대비 증감률에서 중소기업 수는 전국 평균 5.7%와 비슷한 5.6% 증가했으며 종사자 수는 1.5%와 비교해 2.8%, 매출액은 0.7%에 비해 1.9% 늘어나는 등 양호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국제경제 환경이 심상치 않다. 얼마 전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전망(WEO)'에서 내년 경제성장률을 종전 2.9%에서 0.2%p 내린 2.7%로 전망했다. 1월 3.8%, 4월 3.6%, 7월 2.9%에 이어 세 번째로 하향 조정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종전 2.1%에서 2.0%로 0.1%p 내렸다. 직전 전망치를 0.8%p 낮춘 데 이어 3개월 만에 또다시 조정했다. 세계 경제에 '폭풍 구름'(storm clouds)이 몰려오고 있다는 경고에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중기중앙회가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현 상황에 대해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이 '위기'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22.5%는 '별다른 대응 방안이 없다'고 답했다. 지금의 경제위기가 최소 1년 이상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생산비?인건비 등 원가절감 계획을 세우거나(51.7%?복수 응답), 신규 시장개척(36.9%)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계기업 수에서 '19년 대비 '21년 기준으로 중견 및 대기업(15.4%)보다 중소기업(25.4%)이 더 큰 폭으로 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국가 경제의 중심이자 지역경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중소기업들에게 위기가 닥치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난관에 직면했다.

글로벌 대기업 삼성전자가 2030년 세계 주요 생산기지를 무인공장으로 전환하려는 것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력난이 심화하면 인건비가 올라 비용 부담이 커질 가능성을 고려한 조치다. '인구절벽'에 대비해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인력 의존도를 낮춰 지속 가능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대기업의 대처도 빨라지고 있다.

디지털 경제의 도래와 디지털 전환은 전체 사회 영역에서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사회적 현안에 대한 대응 전략의 하나로 스마트 제조혁신 정책을 수립?경쟁하고 있다. 그 중심에 스마트 생산 체계를 적용한 스마트공장이 있다.

충북은 스마트공장 구축률 5.9%로 광역시?도 중 1위(2021.12월 기준)를 달성하였으며 스마트공장 구축 진입 성장 사다리 사업인 소기업형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을 자체 발굴?추진하는 등 제조기업의 스마트화에 앞장서는 지역이다.

최근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이 적용된 최고 수준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케이(K)-스마트등대공장' 지원 대상에 총 15개 업체 중 충북 소재 기업이 3곳 선정되면서 성공 사례를 만들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공장 관련 예산이 올해의 3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삭감돼 지역중소기업 제조혁신의 마중물이 끊기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팽배한 실정이다.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국운을 걸어야 하는 상황에서 초격차 기술 확보 및 공급망 확충, 소·부·장 국산화로 국내 경제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제조혁신이 필수적이다.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취창업본부장
노근호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대안을 찾기 어려운 지역중소기업들은 더욱 절박하다.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들은 작업환경 개선과 함께 생산성?매출 증가, 인력 채용 확대 등 선순환을 경험하는 중이었다. 스마트공장 관련 예산이 되살아나 지역중소기업이 살고 지방소멸을 막는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