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박상철 사회경제부 기자

11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이하 FOMC) 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연준은 11월 1일부터 2일까지 FOMC 정례회의를 열고 경제를 냉각시키고 치솟는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국 시각으로 3일 새벽 3시에 기준금리 인상 결과 기자회견이 진행된다. 이 자리에서 제롬 파월 Fed 의장이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대해 언급하면 국내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도 연준은 0.75%포인트 금리 인상이 유력하다. 연준은 올해 들어 3연속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12월 금리인상 폭이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를 하고 있다. 미국은 물론 세계 곳곳에서 금리인상에 따른 부작용이 나오고 있는 만큼 금리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 영향이다. 따라서 성명서 발표 이후 나올 파월 의장 발언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국 금리인상은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1990년대 이후 국제자본이동이 자유화되면서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금리를 높일 경우 다른 나라도 금리를 높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하 한은) 역시 마찬가지다. 앞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2.5%에서 3%로 0.5%포인트 인상하기로 했다. 이번 인상은 지난 4·5월과 7·8월에 이은 5회 연속 금리인상이자, 두 번째 0.5%포인트 인상이다. 이로 인해 국내 기준금리는 지난 2012년 9월 이후 10년 만에 3%대에 올라섰다.

박상철 사회경제부 기자
박상철 사회경제부 기자

금리를 높일 경우 자본유출을 막아 환율을 안정시키면서 물가를 낮출 수 있다. 하지만 경기침체가 심화된다. 가계부채가 부실화되고 부동산 버블이 붕괴할 수 있다. 게다가 서민들 이자 부담이 늘어 금융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 어느 때보다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한 이유다. 금융당국의 올바른 정책 선택을 기대해 본다.

키워드

#기자수첩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