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노근호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지난 11월 2일부터 3일간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2 산학협력 엑스포'가 열렸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동행하는 산학협력, 미래로 연결하는 플랫폼'이다.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산학협력 공감대 확산과 더 나은 활동을 다짐하는 자리였다.

산학협력은 시대를 막론하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왔다. 정부는 2004년부터 다양한 지원 사업을 통해서 산학협력 강화에 힘썼다. 2012년에는 기존 유사 사업을 통합해 산학협력 친화형으로 체질 개선을 지원하는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개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학연협력 국제경쟁력 미흡과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우수 인재의 공급 수준 부족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에 따라 신산업?신기술 분야 미래 인재 양성과 공유?협업 체계 강화로 산학연협력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이 올해 시작됐다.

충북연구원의 '충북지역 산학협력 실태조사'(2021.12) 보고서에서는 산학협력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산학협력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및 책임감 결여, 기술공급자들의 전문성에 대한 신뢰 부족과 수혜기업 역량 미흡,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 성과 보상 지원체계 부실 등을 꼽고 있다. 아직도 지역의 산학협력이 본궤도에 이르지 못했다는 의미다.

지금은 일반적인 산학연계 인력양성과 연구개발, 산학 간 인력 교류 형태의 협의 개념에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포함하는 산학연관 협력으로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역인재 교육-취?창업-정주의 선순환적 양성체계 마련에 중점을 두는 '2022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을 들 수 있다.

RIS 사업은 학령인구 감소 및 지역인재 유출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대학 등이 연결된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생에게는 폭넓은 학업의 장을, 기업과 대학에는 인력수급 원활화를, 지역에는 인구감소에 의한 소멸 위기에서 벗어날 기회를 제공한다.

이 또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감사원에서 발표한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Ⅳ'(교육?일자리 분야)(2022.2) 자료를 보면 대학과 지역 일자리 연계 분야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육부 관련 사업들이 지역 수요에 대한 논의 부족으로 실제 지역 수요가 존재하는 학과들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했고, 해당 학과들의 정원 감축도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고 지적했다. 결국 지방대학 특성과 지역 사회 수요, 미래 산업 방향이 긴밀히 정합되지 않는 허점을 드러낸 것이다.

전문가들은 학문?산업 간 경계가 희미해지는 '빅블러'(big blur) 시대를 견인할 '뉴칼라'(new collar) 육성에 산업 현장과 학교, 지역 사회의 협업은 절대적이라고 강조한다.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정량적 예측은 어렵다. 산학연관 협력 주체 간 소통 부재와 동기 부여 미흡을 해소하면서 집단지성을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

초연결?초융합?초지능 시대에 맞게 공급자 중심에서 기업 위주의 수요자 중심으로, 과제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기존의 독점적 권한, 낮은 가성비 같은 낡은 시스템을 버리는 한편 거론된 저해 요인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취창업본부장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취창업본부장

4차 산업혁명을 정의한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혁명의 폭과 깊이와 속도는 역사상 전대미문일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현재 대변혁의 파고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정책변화 속도를 더욱 높여야 한다. 인구절벽과 학령인구 감소라는 '정해진 미래'를 이겨낼 '헤쳐갈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