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표윤지 대전·세종취재본부

"지방시대는 끝났다."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역소멸로 지방 도시들이 곡소리를 내고 있다.

'끝났다'고 속단하기 앞서 관짝이 채 닫히기 전, 심폐소생술의 노력은 한 번 해봐야 하지 않겠나.

'지역소멸'은 한국에만 국한되는 현상이 아니다. 이 개념은 지난 2014년 일본 '마스다 보고서'에 처음 등장했다. 당시 일본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지방 인프라 재정비, 거주 장려금 지급 등 안 해본 정책이 없을 정도였다.

이러한 수고는 끝내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근 30년간 고군분투한 일본은 현실과 타협하고, 현재 지역소멸을 받아들이는 분위기로 접어들었다.

일본의 전철을 밟듯 한국의 지방 도시도 멸종 위기에 처했다. 한 가지 다른 점은 제2의 행정수도 '세종시'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세종시는 특별자치시란 이름 아래 거듭 발전하고 있는 도시로, 수도권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인구유입이 증가하는 지역이다.

허나 이런 세종이 현재 충청권 눈엣가시로 낙인찍혔다. 초기에 세종의 발전이 충청권에 가져올 낙수효과를 기대했지만, 충북·충남·대전 등의 인구는 되려 세종으로 흘러갔다.

행복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10년간 충북으로부터 세종시 유입 인구는 총 2만6천6명으로 조사됐다. 충남은 2만5천775명, 가장 많은 대전은 11만8천716명을 세종시로 빼앗겼다.

그러나 집안싸움도 집안이 존재할 때 유의미한 것이지, 초가삼간마저 비바람에 날아가는 마당에 서로가 할퀴는 모양새는 근시안적 태도로 비춰진다.

지역소멸의 심각성이 날로 깊어지자, 현 정부는 지난해 12월 15일 국가균형발전을 5대 국정과제로 삼고 세종시에 지방시대위원회 설치를 결정했다.

향후 세종시가 지역균형 컨트롤타워로서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지역소멸을 극복하기 위해 수도권으로부터의 정주인구 유입이 근본적 해결책이지만, 현재로써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바로 유동인구 유입을 위한 '관광 활성화'다.

지방에 일자리 유치는 대규모 인프라기 때문에 그 비용 또한 크다. 이처럼 제조업 유치가 어려우니 관광업을 개발하는 것이 차선책이다. 상대적 저비용으로, 홍보만 잘되면 투자 효과가 바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유동인구의 소비로 지역경제는 살아나고 세수까지 확보된다. 서비스제공을 위한 상권 활성화로 도시의 기능 역시 유지된다.

표윤지 대전·세종취재본부
표윤지 대전·세종취재본부

이러한 의미에서 메가시티가 구축된 게 아닐까. 충청은 정부에서 지원받는 행정수도 세종을 활용해야 상생할 수 있다. 진정한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해서 서로 간 협력하는 것만이 지역소멸에서 살아남는 길일 것이다.

키워드

#세종시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