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눈] 최임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2020년 10월, 대한민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 완성(2030년)을 약 10년 앞둔 시점이다. 국토균형발전의 사명을 띠고 세종시 일원에 터를 잡은 행복도시는 사업초기부터 저탄소친환경을 도시건설의 기조로 삼았다. 그러나 환경을 보호하고 자연과 어우러져 사는 것과, 인류생존을 위해 탄소배출을 제로화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다. 너무나 도전적인 과제인 탄소중립. 대한민국의 선언대로 2050년 탄소중립은 실현될 수 있을까.

하지만 이 질문은 접근법이 틀렸다. 2050년 탄소중립은 지속가능한 미래세대를 위한 마지노선이기 때문이다. 점점 뜨거워지고 있는 지구온도의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묶어두기 위해 세계는 반드시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제로로 만들어야 한다. 질문을 다시 해보자.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사실 우리 생활 전반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은 많다. 적정 온도에서 생활하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일회용품 줄이기 등 일상에서 탄소감축을 실천하는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행동과 자율에 의지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우리가 사는 도시에도 변화가 필요하고, 그 변화의 물줄기 중 하나가 바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이다.

건축물은 가장 큰 탄소배출원 중 하나다. 주거와 업무공간에서 쓰는 에너지 대부분은 화석연료로 만들어지고, 실제 우리나라 탄소배출량의 21%는 건축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이제는 건축물을 설계할 때 에너지 중심으로 사고를 전환할 때다.

그렇다면 '제로에너지건축물'이란 무엇일까. 쉽게 설명하자면 '화석연료에 기반한 에너지의 제로화'를 지향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여기에 적용되는 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고성능 창호와 단열재의 사용, 창틀·배관·배선 같은 누기 발생부위에 대한 기밀시공, 여름철 직사광선을 막기 위한 차양 설치 등 건축물 자체로 에너지를 절감하고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패시브(passive) 기술'이다. 놀랍게도 이 패시브 기술만으로도 건축물 에너지요구량의 60%는 줄일 수 있다.

에너지 절감에 그치지 않고 직접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도 있다. 바로 '액티브(active) 기술'이다. 옥상이나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얻는 방식이다.

이렇듯 에너지는 적게 쓰고, 필요한 전력과 난방에너지는 환경친화적으로 스스로 만들어 공급하는 '제로에너지건축물'이야말로 다가오는 탄소중립시대의 마중물이 될 것이다.

행복도시 건설 사업의 시행주체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은 탄소중립 선언에 발 빠르게 대응해왔다. 2020년 도시계획에 신규 생활권은 제로에너지건축물로 조성될 수 있도록 하였고,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획득한 임대형 단독주택 단지인 로렌하우스(ZERO ENERGY RENTAL HOUSE) 1·2차(약 140세대) 사업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올해는 제로에너지건축물 3등급 공동주택(약 240세대) 착공을 앞두고 있다. 용적률과 건축물에너지소요량은 비례하기 때문에 공동주택을 제로에너지건축물 3등급으로 설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꽤나 어려운 과제다. 해당 건축물은 에너지효율 1+++등급으로 설계되었고, 소요에너지의 6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기 위한 지열과 태양광 설비도 마련될 예정이다.

최임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최임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물론 제로에너지건축물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나 탄소중립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감안하면, 이제 '제로에너지'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시대의 패러다임은 비용절감에서 에너지절감으로 바뀌고 있다. 행복도시도 마찬가지다. 내년부터는 민간 공동주택도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아야 한다. 갈수록 건축물 에너지효율 인증대상은 확대되고, 인증등급도 강화될 것이다. 행복도시의 주거와 업무, 모든 생활공간이 탄소제로를 실현하는 그 날까지 행복청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