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도 김포의 서울 편입'으로 촉발된 서울 메가시티론을 놓고 여야간 공방전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 또한 초광역 메가시티 조성이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메가시티 서울' 추진을 논의할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연말 전 법안 발의 등 성과를 내겠다며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문제는 집권 여당의 '뉴시티 프로젝트' 가 충청지역은 건너 뛰고 서울과 광주, 부산 등 3개 광역권을 중심으로 추진된다는 데 있다.

대전과 세종, 충남북을 아우르는 4개 시·도가 선제적으로 '충청 메가시티'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메가시티 서울'로 명명된 구상안이 자칫 후순위로 밀리거나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국민의힘 조경태 특위 위원장이 이 같은 우려를 의식한 듯 "서울이 기폭제가 돼, 서울·부산·광주 '3축 메가시티', 나아가 대전과 대구를 잇는 '초광역 메가시티'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사업 우선 순위에 충청권이 들지 못했다는 의구심을 떨치기 어려워 보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광역단체장들도 속속 입장을 표명했다.

가장 먼저 포문을 연 김태흠 충남지사는 "서울 주변의 행정구역 정비보다는 지방 메가시티가 우선"이라며 "충청권 4개 시·도 지자체장, 영남권 지자체장들과도 함께 중앙정부와 국민의힘에 강하게 요청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을 어떻게 해소할 것이냐 하는 청사진을 먼저 제시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장우 대전시장도 7일 시정 브리핑에서 공조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나아가 세종시와 대전시간 광역지자체 통합 필요성과 충남 금산과 충북 옥천까지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내놨다. 지방정부 기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충청권을 단일 행정권으로 통합하자는 취지다. 이와는 달리 최민호 세종시장은“전국적인 시각으로 통합문제를 바라봐야 할 때”라며 거리를 뒀다.

집권 여당발로 촉발된 메가시티 사업이 총선용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지만, 이 참에 충청권 광역지자체는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

예타의 문턱을 앞둔 충청권 광역철도망을 비롯, 국회세종의사당 조속 건립 등 숱한 과제들이 정부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여야를 넘어 충청권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정치권을 압박해야 한다.

기회 있을 때마다 충청권 공조를 강조하면서도 정작 필요할 때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한다면 또 다른 눈치보기 또는 이기주의로 비칠 우려가 있다.

이 같은 우려를 잠식하기 위해서라도 충청권 광역지자체장과 의회, 그리고 시민단체들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공론화 작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충청권 발전과 상생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