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년회의 충청 지방은행 설립 촉구 집회 관련 자료사진 
청년회의 충청 지방은행 설립 촉구 집회 관련 자료사진 

젊은 피의 청년들의 모임 YC청년회의 충청(발기인 대표 윤경숙 자유연대 공동대표)이 20일 대전 중앙시장에서 금융주권 확립을 위해 의지에 찬 칼을 빼들었다.

이들은 지방은행 부재로 인한 ▷자금역외 유출 ▷서민 금융부담 가중 ▷중소기업 대출난 등의 문제점을 강조하며 560만 충청인의 뜻을 모으기 위해 한데 뭉쳤다.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추진 움직임이 마구 꿈틀대다가 결국 다시 제자리로 돌아간 것에 대한 재점화다.

IMF 금융위기 이후 금융 구조조정에서 보여준 지역은행의 처리 과정은 수도권 집중, 중앙집권의 국가 중심주의적 체제의 뿌리 깊음을 다시 확인하게 만들었다.

결국 지역은행은 시중은행의 영업활동의 범위가 미치지 못하는 틈새시장을 떠맡을 뿐 한국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라는 목적에는 이바지하지 못하는 부차적 금융기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됐던 결과다.

YC청년회의 충청은 "이제는 시민이 주도해 충청은행을 다시 설립하자"는 눈물겨운 의지를 불태우며 대전 중앙시장 거리를 돌며 ▷IMF로 희생당한 충청자존심 회복하자 ▷어려운 서민경제 살려내는 충청은행 부활하자 ▷서민 금융 충청은행 설립해 민생 경제 살려내자 등의 구호를 외쳤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충청인의 소위 예비출마자들의 정치적 경제적 부활을 위한 목표가 더욱 뚜렷해 졌다. 비록 젊은 청년들이 불씨를 지핀 지방은행 설립의 촉발이고 보면 뒤늦은 감도 있지만 '시작은 반'이라고 했다.

지난해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4개 시·도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 경제효과 등을 담은 연구보고서 작성을 시작하며 시동을 걸었다, 정치권과 금융당국, 출자자 설득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4개 시·도는 이 자료를 금융당국에 인가 신청서를 제출하기 위한 목표까지 계획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지방은행은 부산과 대구, 경남, 광주, 전북, 제주 등 6개 지역에 있다. 주요 시·도 중 강원과 충청권에만 없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충청은행과 충북은행 모두 문을 닫으면서 24년간 지방은행이 없었다. 충청은행은 1998년에 하나은행에 인수됐고, 충북은행은 조흥은행과 합쳐진 후 신한은행에 인수됐다.

2019년 기준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부산과 대구의 1인당 기업대출액은 각각 2억7천700만원인 반면, 충남은 1억6천900만원이었다. 2021년 기준 중소기업 대출 평균 이자율을 보면, 충북과 대전이 각각 3.31%, 3.29%로, 대구·경북(3.04%)과 경남(2.91%)보다 높았다. 자본의 역외유출도 충청 지역의 고민거리 중 하나다. 2021년 기준 충남과 충북의 역외유출액은 각각 23조원, 12조8천억원으로 나란히 전국 1·2위를 차지했다.

충청권의 지방은행 설립에 대한 '불씨'는 당겨졌다. 그러나 정부의 대출규제 기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은행 간 경쟁 심화 등은 넘어야할 큰 산으로 560만 충청인의 힘이 한데 모아져야 한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