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원자 감소 등으로 인해 입시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학과가 속출하는 등 지방대학에 비상이 걸렸다.

종로학원의 2024년 대입정시전형 분석 자료에 따르면, 전국 190개 대학 4천889개 학과 중 35개 대학 163개 학과가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경기권 대학 1곳에 그쳤지만, 비수도권은 34개 대학 162개 학과가 정원이 미달될 정도로 편중이 심했다. 충청권 대학도 예외는 아니었다. 충남 5개 대학 15개 학과, 충북 4개 대학 6개 학과, 대전 2개 대학 4개 학과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지원자가 '0명'인 곳도 나왔다. 충남 소재 한 대학의 군사학과를 비롯, 부산과 광주 등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5개 대학 5개 학과는 지원자가 단 1명도 없었다.

가까스로 정원을 채운 대학도 최종 등록까지 낙관할 수 없다. 정시 지원의 경우 수험생 1명이 최대 3개 대학까지 복수지원이 가능한 탓에 수도권으로 상향 지원한 대학에 합격하면 이탈하는 사례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흐름에 대해 일선 대학들은 '그나마 선방한 편'이라는 평가와 함께 '학과 통폐합 등 본격적인 구조조정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엇갈렸다.

전자의 경우 대학별로 정원감축과 학과 통폐합 등 자구책으로 지난해 정시에서 59개교 381개 학과가 미달사태를 빚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40% 이상 미달인원이 줄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와는 달리 해마다 반복되는 미달사태로 인해 대학간 통폐합과 폐교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부정적 견해도 만만치 않다.

지방대는 등록금에 재정을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정원 감소는 곧 대학 운영의 위기로 이어진다. 사립 일반대의 경우 등록금 의존율이 51.4%에 달할 정도다. 이로 인해 지난 2천년 이후 전국적으로 폐교된 대학만 총 19곳, 모두 비수도권 대학이다.

2021년을 기점으로 대학 입학 연령 인구가 입학정원에 미달하기 시작하면서 신입생 미충원 인원이 4만 명을 넘기 시작했다. 정원을 채우지 못한 대학의 75%가 지방대일 정도로 심각한 위기다.

교육부가 지방거점대학 통합과 함께 지난해 유학생 30만 명 유치 등 갖가지 방안을 내놨지만 추진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충남대와 한밭대 등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추진중인 대학 통폐합도 구성원간의 이견으로 수년 째 공전을 거듭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곧 지방소멸로 이어질 수 있다.장기적 차원에서 정부와 대학, 그리고 지자체 모두가 출구찾기에 나서야 한다. 그 같은 노력이 선행되지 않는 한 지방대학이 처한 위기는 날이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할 때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