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졌지만 상반기 다시 상승 폭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달 식료품 물가는 1년 전보다 6.0%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폭(2.8%)의 두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식료품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지만 속도가 느린 탓에 넉 달째 6%대다. 식료품 물가는 과일 외 우유·치즈·계란(4.9%), 채소·해조(8.1%), 과자·빙과류·당류(5.8%) 등도 지난달 전체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새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졌지만 상반기 다시 상승 폭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달 식료품 물가는 1년 전보다 6.0%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폭(2.8%)의 두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식료품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지만 속도가 느린 탓에 넉 달째 6%대다. 식료품 물가는 과일 외 우유·치즈·계란(4.9%), 채소·해조(8.1%), 과자·빙과류·당류(5.8%) 등도 지난달 전체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민족 최대 명절인 설 연휴 기간 국민들이 느낀 체감경기는 한마디로 최악 그 자체였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 여파로 밥상머리 물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영업부진과 자금난이 겹치면서 줄폐업 위기에 몰린 중소기업과 영세 소상공인들은 이구동성으로 '민생을 외면한 정치'에 손사레를 쳤다.

실제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로 지난해 7월(2.4%) 이후 3%를 넘어섰던 흐름이 6개월 만에 2%대로 둔화했다. 하지만 소비자물가보다 국민들이 실제 체감하는 생활물가 상승률은 이보다 훨씬 높았다.

소비자물가지수 구성 품목(458개) 중 가계의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월에도 전달보다 0.6%나 뛰며 3.4%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국민들이 직접 체감하는 생활물가 상승률은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할 정도로 높았다. 정부가 과일 등 오름폭이 큰 품목을 중심으로 관세할당과 수급 안정책을 폈지만, 그 효과는 현실로 이어지지 못했다.

국제원자재값 상승 여파로 전년 대비 외식가격이 두자릿 수 이상 급등하면서 소비와 지출, 영업 매출이 동반 감소하는 여파로 자영업자 10곳 중 1곳 꼴로 폐업을 하는 등 서민 경제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흐름에도 정치권이 전한 설 연휴 민심의 시각은 극명하게 달랐다.

국민의힘은 "국민들이 민생을 외면한 야당의 입법 독주에 엄중히 경고했다"며 "윤석열 정부의 국정을 잘 뒷받침하고 국가 안보를 지키며 민생을 살려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설에 마주친 민심은 정권에 대한 분노와 정권심판이 주를 이뤘다"며 "이번 선거에서 무책임하고 무능한 정부여당을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혁신당도 "국민들이 바라는 것은 지난 몇 년간 지속된 윤석열과 이재명의 의미 없는 경쟁의 종말"이라며 "설 연휴 기간 개혁신당을 중심으로 한 제3지대 통합이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뉴스"였다고 자평했다.

전통시장과 지역구를 돌며 "살림살이가 어려워졌다는 것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국회에서 실질적인 대책을 강구하도록 하겠다"면서 자신들만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지지를 호소한 정치인들의 민낯이 따갑기만 하다.

IMF 외환위기 때보다 더 힘든 시기에도 당리당략에 매몰된 정쟁만 거듭하고 있는 정치권의 현 주소를 방증한 셈이다. '경제와 민생을 살려달라'는 현장의 목소리도 잠시였다. '총선서 밀리면 끝장'이라는 시각을 벗어나지 못한 정치권이 민생을 운운하며 자신들에게 한 표를 호소할 자격이 있는 지 의문스럽다. 정쟁과 혐오,기득권 나눠먹기로 일관해온 기존 정치판이 변하지 않는 한 국민실망감은 높아질 뿐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