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송문용 충남천안취재본부장

1919년 3월 1일 대한민국 곳곳에서 독립운동의 함성이 울려퍼졌다. 3·1절이 올해로 105주년을 맞이했다.

10년 전, 김 모교수가 유관순열사기념사업회를 찾아가 사죄를 한 적이 있다. 당시 그는 "유관순은 친일파가 만든 영웅"이며 "친일 전력이 있는 이화학당 스승이 해방 후 유관순을 발굴해 영웅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해 논란을 빚었다.

이같은 주장은 2009년 3·1운동 90주년을 맞은 해 시작됐다. 정 모 교수가 "친일 혐의가 있는 우익 인사들과 기독교계가 합세해 유관순의 삶에 허구적 이미지를 덧씌워, 그의 희생 가치를 훼손했다"고 기념사업을 평가하자 김 교수가 이를 따른 것이다.

2년 전 여름, 한 지상파TV가 천안 병천의 아우내만세운동 기념비를 문제 삼아 보도했다. 그 비 모양이 일제 전몰장병비석을 본 따 유관순 등 순국자 명예를 훼손했다는 것이다.

3·1운동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유 열사에 대한 중대한 '공격'이 아닐 수 없다. 위 두 주장에 대해 정면 반박하고 나선 이가 조한필 전 충남역사문화연구원장이다. 그는 1947년 유관순의 순국사실이 처음 알려지면서 행해졌던 추모·선양사업의 보고서('유관순實記')를 토대로 일부 학자와 언론의 왜곡된 시각을 바로잡았다.

기념사업으로 순국자 및 유가족 조사, 기념비 제막, 영화 촬영 지원, 전기 출간이 동시에 이뤄졌다. 이 사업들은 모두 병천 주민들에 의해 이뤄졌다. 조 전 원장에 따르면 친일 혐의자는 물론 독립지사들도 초기 관여만 했거나 잠시적 관심에 그쳤다.

만세운동 현장에서 돌아가신 19명을 밝혀내고, 그의 유족을 찾아 낸 것도 병천 주민들이었다. 십시일반 돈을 모아 1만여 명이 모인 기념비 제막식 행사를 치른 것도 주민들이었다. 1947년 10월 21일 유관순 영화는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재현장면을 찍었다. 그 시골에 주민 3천여명이 모여 촬영진을 놀라게 했다.

당시 광경을 본 주민은 "우리는 다시 삼십년 전 기미독립운동 당시의 기분으로 돌아갔다. 촬영대를 따르는 수백의 군중, 커트마다 감격이요, 장면마다 눈물이었다"고 말했다.

독립지사 한훈의 기념비 제막식 추도사에서 당시 추모사업에 임하는 이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그는 먼저 "해방된 지 3년이 되는 금일, 국토는 양분된 그대로 사상은 혼란하고 민생은 도탄에 빠진 이 착잡한 현상이 어찌 선열들의 피 흘려 순국하신 독립정신이며 끼치신 뜻이리요"라며 통탄했다. 이어 "삼천만 동포는 이날 이 자리에서 다시한번 굳게 반성하고 새로이 결심하여 국가 천년대업 성취에 대의 밝히기를 거듭 맹서하는 바입니다"라며 남북분단·좌우갈등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구·이시영 등 다른 독립지사들도 추도사에서 거의 같은 내용을 말했다. 또 기념비 건립 발의문을 봐도 기념사업 취지가 명확하다. "3·1정신을 환기시키려면 당시 가장 포악한 희생을 당한 이 고장(병천) 사적을 널리 전 민족에 알리여 우리 민족끼리 단결하여야 국가의 독립이 있고, 민족의 자유도 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함이다."

유관순실기는 기념비 석재의 '정체'도 밝히고 있다. "왜적이 우리 민족을 황민화시키려고 애쓰던 소위 이 황국신민서사탑이라는 것을 연마해 쓰기로 했다"는 것이다. 일제는 이 탑을 통해 우리가 그들과 같은 국민이라고 억지 맹세를 강요했다. 주민들은 그 탑 비면을 갈아내고 거기에 만세운동 행적과 순국자 이름을 새기고 이렇게 평가했다. "이 탑이 선열의 충혼비가 되었다는 것은 얼마나 통쾌한 일이며 천상에 계신 열사의 영령도 얼마나 기뻐하시랴!"라며 전승탑으로 여겼다.

송문용 충남 내포 본부장
송문용 충남 내포 본부장

이렇듯 77년 전 기념비를 세우고 순국자를 추도한 뜻은 명백했다. 민족이 통합된 완전한 독립 쟁취였다. 이는 지금도 이뤄지지 못한 현재진행형이다.

키워드

#데스크칼럼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