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선씨 두번째 교양서 펴내

인생 신호등을 통해 삶의 지혜를 전한 자연인 김홍선씨가 두번째 삶의 메시지를 펴냈다.

두번째 주제는 '집착을 버리면 세상이 보인다!'. 살며 배우며 터득한 것을 삶에 투영시킨 이야기들이 수록돼 있다.

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화이불유(和而不流). 세상과 조화를 이뤄 어울리되 세속적으로 휩쓸려 타락하지 말 것을 강조한다.

일기를 쓰듯, 낙서를 하듯 모아놓은 지침들은 자기 다짐에서 비롯됐다. "일부러 짓궂게 다른 소리로 비꼬기를 잘하고 남의 잘됨을 시기하는 그런 사람들의 말버릇이나 상대가 약하면 일부러 그를 경멸하고 상대가 강하면 그 비위를 거스르지 않으려고 줏대 없니 휩쓸려 협력화합하는 사람을 경계하기 위해 고서에서 읽은 진리를 쓰게 됐다"

나약하고 변화무쌍한 인간의 마음에서 집착을 거둬냈을 때 발전이 있다는 깨달음이 책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저자는 말한다. 집착과 과욕을 버리면 남의 잘함을 보고 그것을 존경할 것이고, 불행에 처하는 것을 가슴 아파하고 잘됨을 보면 축하하는 마음이 생길 때 그는 진정 존경함을 받는 사람이 될 것이다.

인간의 방황에 대해선 고려가요 '가시리'를 통해 이해를 돕는다. 젊은시절 문학을 동경했던 당시의 연정을 '가시리 가시리 잇고 바리고 가시리 잇고/ 나는 어찌 살라하고 바리고 가시리 잇고/ 붙잡아 둘 일이지만 시틋하면 아니 올세라/ 서러운 임 보내옵나니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로 풀어내고 있다. 다시 오지 않을 청춘보다 아름다운 것은 남은 추억으로 인한 행복임을 강조한다.

집착을 버리라는 메시지는 '방하착(放下着)'에도 잘 드러나 있다. 방하착은 불가에서 쓰이는 말로, 방하는 놓는다. 착은 집착을 뜻한다. 다 놓고 가라는 뜻으로 허수입(虛受入)의 뜻과 같이 비워놓고 받아들인다는 것.

저자는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알맞은 삶을을 살 것을 권하고 있다. 삶에 대한 저자의 낙관은 송림의 바람소리와 심심산골의 시원한 계곡 물소리를 표현하는 구절에서도 느낄 수 있다.

자신은 그저 '그렇게 살다 그렇게 갔다'고 기억되길 바란다는 자연인 김홍선. 그가 전하는 두번째 깨달음은 이렇다.

"욕심이라는 것은 미련에서 온다. 억울해도 속상해도 보기 싫었던 것도 다 내려놓고 마음 속의 응어리도 머릿 속의 잡념도 후손들의 기원도 다 잊자. 소설 열 권을 써도 모자를 과거의 이야기일랑 접어두고 부끄럽지 않은 생의 깨달음만을 엮어 '다 놓고'의 깊은 뜻을 전하고 싶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