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육과학기술부가 입학사정관제 지원 확대 계획을 발표한 후 일부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입학사정관 선발 인원을 확충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KAIST와 포스텍에 이어 고려대, 한양대, 한국외국어대 등 사립대학들이 정원의 20%가량을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선발하겠다고 발표했고 홍익대는 미술 실기시험을 아예 폐지하겠다고 선언했다. 입학사정관제가 유행이나 되는 것처럼 대학별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제는 입시의 무한 점수경쟁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분명 그 취지 자체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금 대학은 유명대학 따라하기 또는 정부 지원금 따내기 차원의 행태를 보여주고 있어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키워드는 공교육정상화와 잠재력에 의한 선발이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제를 도입, 확대하면서 대학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찾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정교화하고 또 이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인력을 길러내는데 힘을 쏟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이 갖고 있는 소질과 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하는 동시에 대학에서의 학업능력, 사회진출 후의 성과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자료의 축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제 계획 발표이후 일선 고교에서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어 혼란을 겪고 있다. 대학별로 제각각인 입시제도로 인해 고교생과 이들을 지도하는 학교 교사들은 갈팡질팡할 수 밖에 없다. 대학의 일방적인 개혁보다는 일선 고교와의 충분한 협의를 거쳐 교육현장에서의 부작용과 혼란을 최대한 줄이는 것도 당면한 과제이다.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을 위한 심도있는 연구와 철저한 준비과정을 통해 정부-대학-학부모간 신뢰를 하나하나 쌓아가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