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에 커다란 충격과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노 전 대통령은 충청권은 물론 지방민들에게 커다란 은인이었다. '사람은 나서 서울로 보내야 한다'는 수도권 지상주의의 그릇된 관념을 깨트리고, 수도권과 지방의 공존·공생을 실천한 대통령이었다.

지방분권, 국가균형발전정책을 단순한 정책과제 차원이 아니라 국정철학 차원에서 추진하면서 지방발전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이같은 대통령의 철학은 역대 대통령중 처음으로 퇴임 이후 서울에 머무르지않고 낙향한 대통령으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고향에서 친환경 오리농법에 관심을 갖고, 두 손녀를 태우고 자전거를 타던 소탈한 대통령은 봉하마을뿐만 아니라 모든 지방민의 친근한 이웃이었다.

그런 대통령을 우리는 잃은 것이다.

바로 1년 4개월 전까지 이 나라를 이끌던 분이 이렇게 비명에 63년의 생을 마치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민들의 충격과 슬픔은 너무도 크다.

노 전 대통령은 재임시절 권위주의 청산과 지역주의 타파, 지역균형발전, 남북화해협력 등 다양한 화두를 제시했다.

노 전 대통령은 수도권과밀집중과 지방 황폐화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살리기 3대 특별법을 제정하고, 행정도시·혁신도시 등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비롯한 지방분권·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강력히 추진했다. 중앙정부의 권한을 대대적으로 지방으로 이양하고,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 통제수단으로 사용해왔던 국비편성권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만들어 지방에 이양하기도 했다.

당초 혁신도시 대상에서 제외된 충청권이 포함된 것은 노 전 대통령의 결단이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두어 수도권의 공룡화를 억제하고 충북도세가 약세에도 불구 발전의 물꼬를 튼 것은 큰 혜택이 아닐 수 없다.

끝내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변경되었지만 신행정수도를 건설하기위한 노력에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민들은 국민대접을 받는 것 같은 자긍심을 갖기에 충분했다. 헌법재판소마저 얼토당토한 관습법 논리로 찬물을 끼얹고, 수도권과 한나라당 등 정치권의 거센 반대를 당당히 이겨낸 대통령이다. 특히 충북 100년의 역사를 새로 쓰게될 호남고속철 오송분기역 설치, 오송국가보건의료산업단지, 오창IT 단지등을 직접 조성·지원해 BIT를 충북의 신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한 것도 큰 공로다.

노 전 대통령은 충북도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청남대를 충북도민들에게 선물하고, 대통령 전용별장을 없앰으로써 대통령의 권위주의를 청산한 서민대통령이다.

서울~충주간 전철, 중부내륙고속도로, 동서고속도로, 청원~상주간 고속도로 등 대규모 SOC확충도 과거정부에선 일찍이 없었던 충북에 대한 지원이었다.

그런 대통령이 삶의 무게를 이겨내지 못하고 우리 곁을 떠났다.

충북과는 자별한 대통령이었기에 그를 잃은 우리의 슬픔은 더욱 크다.

1년전 노 전 대통령은 퇴임후 충북 영동군의 와인특구를 방문하고, 인근 포도재배농가에서 일손돕기에 참여했다. 포도송이가 송알송알 열리듯 전국의 모든 지방이 자생적으로 성장동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 것을 우리는 잊을 수 없다.

그같은 노력에 수도권, 기득권세력의 반발이 얼마나 거셌던가.

늦게나마 지방민들이 노무현 전 대통령을 지켜드리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와 자괴감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제 이명박 정부가 불도저처럼 밀어붙이고 있는 수도권위주의 성장개발정책과 지방말살정책을 막아내고 국가균형발전과 지방살리기 정책을 지켜내는 일은 2천500만 지방민들의 몫으로 고스란히 남게 되었다.

분명 노 전 대통령의 비극은 불행이다. 엄연히 노무현 정부도 공과는 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올곧은 지역균형정책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너와 나, 여와 야, 지방과 수도권이 나뉘어선 안된다.

노 전 대통령의 장례식도 유족들이 국민장으로 결정한 만큼 공공장소에 빈소가 마련되어야 한다. 조문객을 가리는 것은 결코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는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다.

남달리 지방에 대한 애정과 혜택을 아끼지 않았던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모든 지방민들은 머리를 숙인다.

노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