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영 농협청주교육원 교수

지난 7월과 8월에 체결한 '한-EU간 자유무역협정(FTA)'과 '한-인도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이어 현재 추진 중인 주요국과의 추가적인 협상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개방적 경제구조를 한 차원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강화된 개방적 경제구조는 비농업부문에 비해 국내총생산(GDP)에서 2%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시장규모와 경쟁력 측면에서 비교열위에 있는 농업부문의 상대적인 희생을 강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농업·농촌을 확고한 안전장치 없이 경쟁의 장(場)에 들러리로 내 몰아서는 문제의 해결보다는 문제의 양산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농업의 시장적응력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물류?금융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생산물의 경쟁력을 높이는 하드웨어적인 지원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대안 중 하나가 농산물의 고급화로 시장을 차별화함으로써 시장적응력과 생존력을 높이자는 것이다. 농산물의 고급화는 다양한 기능성을 겸비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을 의미한다.

단순 화학비료사용 억제가 아닌 첨단바이오농업기술과 자재 등을 활용한다는 의미에서 하이테크 벤처산업으로 볼 수 있는 친환경농업의 시장규모는 2007년 1조 9,000억원에서 2008년 2조 4,000억원으로 26%가 증가했고 2010년에는 3조2000억원, 2020년에는 약 8조9000억원이 될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예측하고 있다.

이는 친환경농업이 소외되고 몰락해가는 농업의 부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최적의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또 개방적인 경제구조의 피해자로 간주되는 농업을 수혜자로 전환시킬 수 있는 동력을 잠재하고 있기도 하다.

주변 중국·러시아·일본을 대상으로 하되 특히 경제규모가 날로 증대하고 있고 우리와 문화가 비슷한 중국의 고소득계층을 겨냥한 고도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한다면 농업도 경쟁력이 있는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이를 위해서는 각국의 소비계층의 식습관과 취향을 연구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다양한 맞춤형 고급농산물의 생산과 판로지원기능 및 품질검증을 담당하는 전담기구를 도(道)와 농협이 상호출자하는 공기업형태로 설치, 운영하는 것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이와 더불어 지역의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시민들 건강을 보호하며 농가소득증대에도 획기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보급에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농협의 헌신적이고 치밀한 역할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각 기초지방자치단체는 농협과 협력하여 그 지역에 적합한 생산품목과 재배규모 및 방식, 그리고 마케팅활동과 관련한 세부적인 내용까지 조정하고 지원하는 위원회 형태의 지역친환경농산물사업추진 기구를 구성하였으면 한다.

이는 해당지역의 농촌사정에 밝고 친환경농산물사업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농협과 행정, 예산지원의 주체인 지방자치단체가 서로 협력하여 사업을 추진한다면 선택과 집중을 통한 효율과 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소비의 확대는 자연과 사람, 그리고 농업의 보호를 뛰어 넘는 농업의 가치향상을 위한 최적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일반시민은 물론이고 기업과 각 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 그리고 지원을 아울러 촉구해 본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