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우·음성주재

국가적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세종시 수정안이 행정중심복합도시를 포기하고 도시의 자족기능을 대폭 향상시킨 교육과학 중심의 경제도시로 발표돼 충북은 큰 허탈감에 빠져 있다. 세종시 수정안을 살펴보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대기업이 포함돼 있고, 고려대와 KAIST 등의 대학교, 각종 기업과 연구소들이 입주하는 안이 포함돼 있다. 토지 분양가와 세금도 대폭 감면해주는 여러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되면서 지역별 '역차별' 논란도 뜨겁다. 지역마다 제목소리를 내고 강력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세종시처럼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힌 사안은 더욱 그렇다. 정부는 '역차별은 없다'고 강변하지만 세종시 수정안으로 지역의 피해는 분명히 발생한다. 문제는 어떤 피해가 얼마나 되는지, 당장 발생하는지 미래에 입을 피해인지 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냉철하게 풀어봐야 대처할 방법이 생기고 미래성장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 수정안은 충북과 진천·음성 혁신도시, 충주 기업도시에 얼마나 많은 피해를 입힐까?

세종시에 대기업들의 투자를 끌어냄으로써 충북의 기업유치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세종시는 충북 미래 성장동력으로 개발될 첨단산업과 녹색성장산업도 중복돼 사업추진에 탄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조성원가만 3.3㎡당 원형지 형태로 36만∼40만원에 제공되는 세종시와 분양가격이 3.3㎡당 100만원 안팎인 도내 지방산단은 경쟁 자체가 안 된다. 또 국내외 대기업들의 세종시 유입에 따른 집적화 효과로 지역 관련업체들의 이탈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기가 당초 축소하기로 했던 대전사업장에 4천500억원을 투자키로 한 것도 결국 세종시 블랙홀에 따른 지역투자 이탈의 신호탄이라는 지적도 낳고 있다.

많은 지자체가 피해를 우려하고 있지만 어쩌면 큰 피해자는 충북일지 모른다. 정부가 전폭지원하는 집적도시를 어느 기업이 마다 하겠는가. 충북은 어렵게 찾은 미래 먹거리를 세종시에 온전히 내주는 것이 아닌지, 뒤늦게 또다른 먹거리를 찾아 나서야 하는 것은 아닌지 도내 지자체의 걱정은 깊어만 가고 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