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성 명 중 전 제천시의원

요즘 지방자치의 키워드는 단연 지역경제 활성화다.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광역 및 기초단체장 입후보자는 물론 지방의원에 나서는 대부분의 후보자들은 대부분 공약 첫머리에 경제라는 단어를 올렸다.

경제전문가니 경제통 CEO단체장 등은 기본이고 투자유치에 올 인하겠다. 일자리를 만들겠다. 재래시장을 활성화 시키겠다는 등 실현가능성 여부를 떠나 지역경제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경제가 선거과정에서 화두가 되고 유권자들을 파고드는 핵심 키워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역설적으로 지역경제가 그만큼 어렵다는 반증일 것이다. 사실 그렇다.

그동안 각 지자체에서 내세웠던 수치상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제천의 경제의 질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갖지 못해 백수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설사 일자리를 가졌다 해도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를 비정규직이란 불안한 울타리에 갇혀 있는 현실이다.

기업들은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동남아 등지로 산업라인을 이설해 산업단지의 공동화가 진행되는가 하면, 원. 달러 환율 하락으로 기업들의 채산성도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생활경제는 더더욱 말이 아니다. 시장상인들은 장사가 안 된다고 아우성이고, 직장인들은 수년간 제자리 수준의 급여로 치솟는 물가와 사교육비 부담을 견뎌내야만 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아끼고 허리띠 졸라매고 해보지만 한계가 있다. 이러한 장기적인 경기침체는 민심을 악화시켜 어디 경제문제를 풀어낼 해결사는 없을까하는 주민들의 바람을 교묘히 파고든 것이 바로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공약이었던 것이다.

이제는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실천할 차례다. 그들이 했던 약속을 이행함으로써 당선을 시켜 준 주민들께 보답해야 하지 않는가. 단체장은 지역차원의 경제관련 로드맵을 다시 다듬고 손질해 실현가능성이 있는 정책부터 손을 써 실천성을 높여야 한다.

지금 전국의 시·도는 경제전쟁중이다. 국내외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도로개설과 규제해제 등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해 유인전략도 한창이다. 심지어 어떤 지자체는 일본, 미국 등 해외로까지 눈을 돌려 투자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제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단체장의 철학과 마인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관련조직도 정비하고 인력도 보완해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우리지역은 시장이 공직자와 함께 불철주야로 현장행정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올 인하고 있는 듯하다.

지방의회는 자치단체의 이러한 방향에 대해 감시와 협력의 역할이 필요하다. 집행부의 경제정책에 꼼꼼히 따지고 조언해 실현가능한 로드맵이 나올 수 있도록 보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정치적 이해관계나 정당별 득실을 떠나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대명제를 향해 함께 머리를 맞대고 뛰어야 한다. 이 같은 당위성을 거역하고 정치적 놀음을 일삼거나 선심성 행정으로 주민과 지역을 기만하는 행위는 민심의 준엄한 심판을 받을 것이다.

지방자치의 본질이 지역민을 위한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면 단체장과 의원들은 경제회생이라는 대주민 약속을 초심대로 지켜내 본질에 더욱 충실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지역경제를 회생시키는 것이야말로 성공하는 지방자치란 사실을 또한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