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0.25%P 인상 가계·중기· 수출업체 직격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올리면서 지역 서민경제와 영세기업의 타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가계 대출자들은 매월 갚아야 할 대출금의 금리부담이 가중되고, 상황에 따라 내집 마련의 꿈을 뒤로 미뤄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지역 중소기업들은 대출 상환 불안감에 자금난 심화를 우려하며 기업활동 위축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일단 인상폭이 미미해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지는 않을 전망이지만 금리가 시기를 두고 지속적으로 오를 전망이어서 어려움이 더 크다. 금융권에서는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시기가 앞당겨진 만큼 앞으로의 금리 인상 폭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은행권 대출금리 일제히 상승=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 국민, 신한 등 시중은행들은 17일부터 대출금리를 일제히 올릴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연동 주택대출 금리를 연 4.26~5.58%에서 연 4.32~5.64%로 인상한다. 국민은행도 CD 금리 연동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를 연 4.73~6.03%로 지난주보다 0.18%포인트 올린다.

신한은행의 CD 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지난주 연 4.4~5.80%에서 17일 연 4.52~5.92%로 높아진다. 신용대출 금리도 오른다. 우리은행은 17일 CD 연동 '직장인 우대 신용대출' 금리를 0.06%포인트 올려 연 6.07~9.02%로 적용할 예정이다.

물가상승은 물론 저금리에 따른 부작용으로 이달에 이어 한국은행은 올해 추가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여 앞으로 가계부채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 빚 상환·부동산 거래 타격 불가피=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의 90% 이상이 변동형 상품인 점에 비춰볼 때 대출자의 금리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CD금리가 현재 수준보다 0.5% 높아질 경우 1억원(연 5%·변동금리형) 대출자는 연간 이자부담이 500만원(월 41만6천원)에서 550만원(월 46만2천원)으로 10% 늘어난다. 1% 인상 시에 연 이자는 100만원, 월 이자는 약 8만4천원 정도 추가된다.

◆ 지역 부동산 거래 위축 우려= 늘어나는 이자부담은 그 자체만으로도 서민들에게 부담이지만, 부동산 거래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재산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분양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주택건설업체들도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게 되면서 계약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사는 회사원 김모(46)씨는 "만기가 돌아온 적금에다 대출을 얹어 새 아파트를 장만할 계획이었는데 금리인상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 내 집 마련 계획을 뒤로 미뤘다"고 말했다.

◆ 중소업계 경영부담 가중= 이자부담은 기업들에게도 곧바로 부담으로 돌아온다. 특히 해외매출 비중이 높고 신용도가 양호한 대기업보다 중소기업계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대기업들은 회사채 발행, 유상증자 등 여러 가지 대안이 있는 반면,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은 대출 외에는 자금을 구할 길이 없기 때문이다.

청원군 현도면에서 목재가설판을 제조하고 있는 한 중소기업 대표는 "최근 원자재가격 상승, 판매대금 회수 지연 등으로 자금사정이 곤란한 업체의 비중이 전체 절반을 넘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크게 가중시킬 것"이라며 "대외 경제불안 요인이 지속되고 있는 점에서 향후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실물경제 상황을 고려해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충북 무역업계 기업활동 차질 불가피= 올 상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 중인 충북지역 수출업체들도 기업활동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무역협회 충북지부 관계자는 "지역 중소 수출기업들의 90%가 여전히 자금사정이 어려운데다 금리인상의 근거가 되는 물가가 오히려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게다가 유럽 경제위기와 중국 경기하강 등 대외적인 불안요인이 팽배한 상황에서 시장에 충분한 사전 예고 없이 전격적으로 단행된 금리 인상은 그 목표가 무엇인지 납득하기 힘들고, 타이밍상으로도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 이민우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