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한 지엘인베스트먼트 대표

필자는 몇차례에 걸쳐 민주주의의 원칙중에 하나인 '예측 가능한 가변성'이나 최근 급속히 퍼진 'PIMFY(Please In My Front Yard)' 의 폐해 등을 들어 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의 당위성을 다른 각도에서 피력한 바 있다.

이번에는 민간 기업에서 흔히 사용하는 '지속가능경영'을 빌어 지속 가능한 국가경영의 측면에서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의 당위성을 논해 보고자 한다. 흔히 지속가능경영(sustainability management)이라 하면, 기업들이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했던 매출과 이익 등 재무성과뿐 아니라 윤리, 환경, 사회문제 등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균형 있게 고려하면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경영활동을 말한다.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은 기존의 재무성과 위주의 경영에 비해 중장기적 성과를 중시하고 미래고객을 포함하며 정보공개를 전략적으로 실시하고 커뮤니케이션도 기업 외부로 확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단기적인 성과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대외적인 이슈들에 끊임없이 적응하고 개척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는 기업 이익을 극대화하고 기업의 '영속성'도 자연스럽게 확보해 나가는 경영행위의 일환인 것이다. 최근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결정을 둘러싸고 극심한 지역여론 분열과 여당내 불협화음 등 국론분열의 피해나 너무나 큰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LH공사의 지역 배분문제나 과학벨트 입지선정 문제를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결정의 대체 또는 보상용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또다시 엄청난 국론분열을 예고하고 있다. 혹자는 과연 몇사람이나 선거공약을 알거나 선거공약 내용을 의식하고 찍어줬겠느냐는 강변을 하기도 하지만, 이는 정말 신뢰성에 기초하고 있는 민주주의 선거의 기본을 망각한 악의적 발상이라 할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모양새는 아니지만 영호남의 경쟁 속에 충청권이 캐스팅보트를 쥔 모양으로 흘러온 지난 몇차례의 대선에서 충청권을 의식한 공약발표와 당선의 상관관계가 상당한 현실에 비추어보면 위와같은 언급은 더더욱 궤변이 아닐 수 없다. 안그래도 과학벨트와 맞물려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했던 세종시 개발에 있어, 건설경기의 침체에 따른 민간 건설업자들의 주택 및 상업용 건물에 대한 시행, 시공이 늦어지거나 무산되어 자족기능은 커녕 전반적인 사업의 재구성이 필요한 지경까지 내몰려 있는 상황에서, 사업 자체의 효율성이나 본질적인 시너지 효과는 안중에도 없고 오로지 정치 논리를 동원하여 전혀 다른 개발계획 적용에서 소외된 지역에 대한 지역적 안배를 논하며 과학벨트의 구성요소들을 쪼개어 배치한다는 발상은 그야말로 '비겁한 나눠먹기' 내지는 '갈등의 지진 양산'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작든 크든 일을 추진하다보면 여러 가지 변수나 상황으로 인해 '사정 변경의 원칙'을 적용해야 할 경우가 많이 있음을 사업을 하는 필자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5년내에 실적을 보여야 하는 단기적인 정치적 성과에 집착하여 장기적인 국민의 이익이나 국가 경영상의 이익을 놓친다면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서의 '영속성'을 확보하는 것은 더욱 지연되리라 생각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