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충청권 요구사항 상당부분 반영…파급효과 기대충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가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신동지구(169만9000㎡)와 둔곡지구(200만㎡)로 결정되고 충남 연기군(세종시)과 천안시, 충북 청원군(오송·오창)이 기능지구로 지정되면서 충청권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과 충남·북이 강력하게 요구해 왔던 세종시가 비록 거점지구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기능지구로 포함된데다 충북 오송·오창과 충남 천안이 기능지구로 함께 엮이면서 사실상 범충청권의 요구사항이 상당부분 반영됐다는 풀이다.

실제 충북은 세종시가 거점지구로 되지 않더라도 오송·오창이 기능지역으로 포함된다면 큰 이의를 달지 않겠다는 속내를 비쳐왔고, 세종시외에 독자적인 입지를 제출하면서 독자행보를 걸었던 천안시도 결과적으로는 내심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환영하고 있다.

특히 거점지구인 신동지구와 둔곡지구는 행정구역상 세종시와 맞붙어 있는데다 오송·오창, 천안시는 반경 40㎞ 내의 지근거리에 있어 벨트 구축을 통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국내 과학기술의 메카인 대덕에 오송과 오창의 IT·BT융복합단지, 교육과 과학·행정이 복합된 세종시, 국내 최대의 IT클러스터인 천안시의 상승효과가 점쳐지는 대목이다.

더불어 거점지구 대덕내정설이 나오면서 자칫 와해될 뻔 했던 충청권공조가 더욱 공고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 충청권은 이번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체제를 공고히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정부가 거점지구와 기능지구에 2조3000억원을 풀 계획이어서 충청권 과학계와 경제계에 훈풍이 불고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대덕으로 오게되면서 노벨과학상 배출 가능성이 고조됐다는 점도 과학계의 사기를 크게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약 40여 년간 첨단과학기술의 요람으로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진 대덕특구의 연구성과가 전국으로 확산되는데도 결정적인 계기가 될 전망이다. 대덕특구는 수많은 우수인력과 29개 정부출연기관, 8개 공공기관(투자기관), 14개 국공립기관, KAIST등 5개 대학교, 1000여 개 기업체 등이 포진하고 있다.

또 인공태양 KSTAR, 슈퍼컴퓨터 4호기, 초고전압투과 전자현미경 등 세계적인 거대 연구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지상파 DMB 등 세계적인 기술과 상용화를 선도했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연초 이명박 대통령의 재검토 발언으로 촉발된 유치 경쟁속에서도 대덕특구는 어떤 형식으로든 과학벨트에 포함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양승찬 대전시 과학기술특화산업추진본부장은 "대전이 거점지구로 선정된데다 세종시와 충남 천안, 충북 오송·오창이 기능지구로 선정되면서 충청권이 동반 상승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